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두 번째 질문 I 수학에선 무한을 어떻게 정의할까?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증명했어요. 더 작은 무한과 더 큰 무한이 존재한다는 거예요. 그리고 이런 무한의
크기
조차도 무한하다는 게 현대 수학에서 이해하고 있는 무한입니다. 인문학자 수학자는 복잡한 무한을 어떻게 다루나요? 수학자 예를 들어서 설명해볼게요. A는 자신보다 100m 앞서가는 B보다 2배 빠른 속도로 B를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만달로리안’ 처음 등장하는 만달로어 행성은 어떤 모습일까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또 미국 워싱턴주립대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생명체가 거주하기 위한 적절한 행성의
크기
는 지구보다 10% 큰 행성입니다. 질량은 지구의 1.5~1.6배 수준이면 좋고요. 행성의 질량이 커지면 중심부에서 방사성 붕괴로 만들어지는 행성 내부의 열이 더 오래 지속되며 중력, 자기장 등 행성의 특성이 ... ...
세 번째 질문 I 우리는 진정으로 무한을 아는가?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정의에 관해서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해요. 예를 들면 ‘자연수 집합과 실수 집합의 중간
크기
인 무한 집합이 있을까’ 같은 질문을 하지요. ‘연속체 가설’이라고 알려진 문제인데요. 근데 아주 신기하게도 ‘현재의 수학 체계에서는 이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 증명할 수 없다’가 증명돼 ... ...
[수학체험 유랑단] 종이한 장 들고 떠나는 다면체 수업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그렇다면 정사면체 전개도로 또 어떤 다면체를 만들 수 있을까요? 바로 모든 면이 같은
크기
의 정삼각형으로 이뤄진 ‘델타다면체’를 만들 수 있어요. 델타다면체는 정다면체처럼 한 꼭짓점에 모인 면의 개수가 같아도 되지만, 달라도 돼요. 그래서 델타다면체는 합동인 정삼각형으로 이뤄진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3호
특정 생물이나 분류를 일컫는 말이 아니라, 살아가는 방식에 따라 나눈 거죠.
크기
가 크지만 헤엄칠 능력이 거의 없는 일부 해파리도 플랑크톤으로 구분되고, 많은 바다생물이 어렸을 때 플랑크톤 시기를 거쳐가요.플랑크톤은 크게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으로 구분합니다. 식물성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하트 모양 은하의 러브 스토리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겹쳤다. 앞으로 수십억 년 동안 두 은하는 하나의 큰 은하로 반죽될 것이다. 50만 광년
크기
의 하트를 우주에 새긴 채 하나가 되는 것이다. 만약 충돌 방향과 각도가 달랐다면 지구의 하늘에서는 전혀 다른 모양이 보였을 것이다. 다만 이 은하 쌍의 공식 명칭은 아쉽게도 ‘더듬이 은하(Antenna Galaxy ... ...
[이달의 뉴스] 투우사 벌레의 화려한 다리 깃 수수께끼를 풀어라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커요. 그런데 제 깃은 성별에 따라 다르지 않았고, 그냥 몸집의
크기
가 클수록 깃의
크기
가 컸어요. 또 암수에 따라 깃을 흔드는 횟수에도 차이가 없었죠. 더군다나 암수가 같이 있을 때보다 서로 떨어져 있을 때 깃을 더 많이 흔들었어요. 그럼 대체 깃은 무슨 용도인가요.제가 정답을 바로 ... ...
빨라진 물 순환 더 극한 기후 부른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지적했다. 구름 응축 핵(CCN)으로 작용하는 초미립자(UFP)는 구름 속 수증기 방울의
크기
를 바꾸고 빗방울 형성을 지연시켜 강우를 억제한다. 이로 인해 물 순환의 변화를 일으켜,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더 긴 가뭄을 야기할 수 있다. ‘스펀지 도시’가 해결책 될까 물 순환을 정상화할 수 있는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마블 역대급 빌런 정복자 ‘캉’ 앤트맨이 이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훗날 기술이 더욱 발전한다면 앤트맨의 슈트처럼 특정한 자극에 의해 순식간에
크기
가 바뀌는 물질과 기술도 나올 수 있지 않을까요. § 최지원 과학동아와 한국경제신문을 거쳐 현재 동아일보에서 과학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과학동아의 열혈 독자다. jwchoi@donga ... ...
[이달의 뉴스] 태아는 완전한 무균 상태 ‘자궁 무균설’ 재확인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같은 미생물이 실제 태아와 함께 자궁에 존재한다면 태아가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양립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강조했다. 케네디 연구원은 “잘못된 주장을 바로잡지 않으면 존재하지도 않는 태아의 미생물을 치료하려는 매우 위험한 시도로 이어질 수 있다”며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