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탓"(으)로 총 1,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유산균 프로젝트, 똥일기 쓰는 친구들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끝이에요. 10~12시간 정도 충분히 발효시켜야 요거트가 완성된답니다.”발효 시간이 긴 탓에 이날은 미리 만들어 둔 요거트를 맛보았어요. 대신 집에서도 만들어 볼 수 있게 요거트 스타터를 선물로 받았지요. 장윤호 기자는 “오늘 행사 덕분에 내 뱃속에서 일어나는 유익균과 유해균들의 전쟁에 ... ...
- [생각실험실] 순간이동을 하려다 문제가 생겼다! 누가 나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다시 말해, 기계의 오류 때문에 여러분이 서울에 잘못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오류와 고장 탓에 부산에 가짜 여러분이 남았을 뿐입니다. 여러분의 원래 바람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 가서 대고려전을 보는 것이고, 그 바람에 따라 대고려전을 보고 있는 여러분이 진짜 나인 셈이죠. ☞가설2. 부산에 ... ...
- [수학 THE LOVE] 12년 만에 치른 과학고 중간고사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다양한 과학 과목에 널리 쓰이는, 기초 중의 기초다. 결국 답을 내지 못한 채 세월을 탓하며 다음 문제로 넘어갔다.2번은 복소수의 성질에 관한 문제였다. 복소수는 실수와 허수를 포함한 수 전체로, 고등학교 교과 과정에서 처음 등장한다. 그래서 복소수에 관한 문제는 대개 실수와 다른 복소수의 ... ...
- 손에 붙이고, 옷에 심고 웨어러블 패션의 시작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다른 부품들이 작동할 수 없다. 그런데 기존의 트랜지스터는 딱딱한 널빤지 형태인 탓에 의류일체형 웨어러블에 적합하지 않았다. 옷의 일부분이 되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도 실(섬유) 형태일 수밖에 없다. 트랜지스터를 섬유 형태로 만드는 건 녹록지 않은 일이다. 트랜지스터가 금속 덩어리 ... ...
- 블랙홀 첫 직관, 여전히 궁금한 5가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실망스러운 블랙홀의 모습일 수 있다. 지금까지 블랙홀 ‘그림’을 수없이 봐온 탓일까. 영화 ‘인터스텔라’에 등장하는 블랙홀처럼 그간 우리 눈에 익숙한 블랙홀은 훨씬 정교하고 멋지며 경이로움이 느껴졌다. 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미학적인 관점에서는 기대에 못 미칠 수 있지만, 오롯이 ... ...
- [융복합 파트너] 배터리의 생로병사, 최장 수명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짧은 시간 최대 성능을 내기 위해 재료를 촘촘히 채워 넣어 에너지 밀도를 최대로 높인 탓에 전기차용 배터리(약 10년)보다 수명이 짧다.항간에는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해 완전히 방전되기 전에 충전해야 하고, 추운 날에는 전력이 남아 있어도 전원이 꺼질 수 있다는 얘기가 돌아다닌다. 이 교수는 ... ...
- [수동TV] 놀라운 수학 선생님대회, 매스타킹!수학동아 l2019년 05호
- 토론 리그에 나갔을 때는 토의와 토론도 구분 못하는 수학 선생님이 지도 교사인 탓에 학생들이 도움을 받지 못할까 봐 걱정됐는데 막상 평소에 열심히 활동해서인지 우리 아이들이 뒤처지지 않더라고요. 저는 그 뒤로 연수도 다니고 하면서 토론 이론을 좀 더 공부했어요. 반면 수학 관련 도서로 ... ...
- [서거 500년] 프로N잡러 레오나르도 다빈치수학동아 l2019년 05호
- 그림을 그린 화가, 비행기를 설계한 발명가…. 등이 떠오르죠?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한 탓에 많이 알려지지 않은 모습이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수학자 다빈치입니다.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며 수학자의 면모도 만나봅시다.증거① 원의 구원 문제에 도전했다! 다빈치는 원 하나를 그리고 그 원과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중국 최초 우주인 과학선생님 '왕야핑'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배출했다. 러시아와 미국이 협력해 굵직한 우주 역사를 이뤄가는 과정에 함께 하지 못한 탓에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중국의 우주 기술은 아주 짧은 기간에 우주 선진국들을 따라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그동안 참석했던 우주인 모임에서 중국 최초 우주인인 양리웨이를 포함해 중국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바퀴벌레처럼 강한 생명력! 쇠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쇠를 닦는 데 써서 ‘쇠뜨기’란 이름이 붙었다는 유래도 전해져요. 농부들은 쇠뜨기 탓에 애를 먹는다고 해요. 쇠뜨기가 논과 밭에 뿌리를 내리면 그 깊이가 땅 아래 50cm까지 달하기도 하거든요. 아무리 뽑아도 다시 자라나 농작물에 필요한 양분과 물을 빼앗아 먹지요. 또 쇠뜨기가 포함된 속새과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