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외계인과 수다 떠는 법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4호
준비는 거의 다 됐어! 이제 남은 건…. 헤헤, 뭐라고 인사하지? 안녕하세요? 곤니찌와? Hello~? 아차차, 지구에서 쓰는 말은 모를 테고. 손을 막 흔들면서 온몸으로 말해야 하나? 외계인 친구와는 어떻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지? 0과 1로 대화하기대부분의 학자는 인류가 외계인과 대화하려면 수학을 ... ...
[기획] 아폴론의 저주를 풀어라! 2500년의 도전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기원전 450년 즈음 고대 그리스였던가.
태양
의 신인 나를 부정하는 수학자 아낙사고라스를 혼내 주기 위해
태양
을 네모나게 만들어 버렸다!
태양
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려면 ... 풀어
태양
을 되돌려라!Part2. [기획] 새로운 문제의 등장! 타르스키 문제Part3. [기획] 2500년 만에
태양
...
[기획] 원적문제를 풀어
태양
을 되돌려라!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내가 왜
태양
을 네모나게 만들어 버렸냐고? 괘씸한 인간 때문이지. 골탕 좀 먹으라고 답을 찾는 게 불가능한 문제를 냈거든! 하하하. ...
[기획] 새로운 문제의 등장! 타르스키 문제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없으니, 인간에게 기회를 줬지. 작도 외에 어떤 방법으로라도 원을 정사각형으로 만들면
태양
을 원래대로 돌려주려고 말이야. 과연 인간들이 이번 문제는 풀 수 있을까? 타르스키 문제는 원을 조각내서 원과 넓이가 같은 정사각형으로 만들 수 있는지 묻는 거예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 ...
[화보] 인공의 빛을 거두어 내자 자연의 빛이 쏟아져 내렸다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보려면 PDF를 다운로드 받으세요
태양
이 숨어버린 어두운 밤에도 천체들은 끊임없이 운동하며 고유의 빛을 낸다. 그러나 오늘날 지구의 밤하늘은 인공조명들로 가득 차 천체들이 존재감을 드러낼 틈이 없다. ‘별 구하기(SAS·Save a Star)’는 인공조명으로 인한 빛 공해로부터 밤하늘을 지키기 위해 ... ...
[융복합@파트너] 지속 가능한
태양
광 해수 담수화 친환경 수자원 만든다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유일한 사례”라고 말했다. doi: 10.1016/j.desal.2021.115477 지속 가능한 미래 환경을 위해“
태양
광 해수 담수화 기술은 실증 연구가 가능한 단계까지 발전했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으로는 대기 중 수분 포집 기술연구의 중요성이 큽니다.”김 교수의 다음 목표는 바닷물마저도 이용할 수 없는 내륙 ... ...
[에디터 노트] 창백한 푸른 눈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사진을 촬영하는 데 성공합니다. ‘가족 사진’이라는 별명이 붙은 이 사진들 속에는
태양
과 해왕성, 천왕성, 토성, 목성, 금성과 함께 티끌처럼 작은 지구의 모습이 포착돼 있습니다. 대기의 흰 구름 빛을 머금은 연한 파란색 점이었죠. 촬영을 주도한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사진의 화소(픽셀) 하나 ... ...
[과학동아 x 쿤달] 제조기│우주에 없던 향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향기가 가장 적합해 보였다.곧이어 ‘창백한 푸른 점’이란 단어가 수면 위로 올라왔다.
태양
계 탐사를 떠난 보이저 1호가 지구로부터 약 60억 km 떨어진 명왕성 궤도에서 1990년 촬영한 지구 사진에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붙인 이름이다. 이 사진에 담긴 지구는 희미한 푸른 빛을 띠고 있었다. ... ...
[특집] 과학자가 말한다! 시민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9’를 통해서
태양
과 가까운 갈색왜성●을 찾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어쩌면
태양
계의 아홉 번째 행성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몰라요. 시민과학자들이 도움이 많이 되나요?관측 결과를 분석할 때 주로 컴퓨터를 써요. 하지만 컴퓨터는 때때로 명백한 과학 증거를 잘못 해석하거나 놓치곤 해요.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빛이 예술과 과학의 다리가 될 때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이공계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색채학 개론을 가르치고 있다. 수업 첫 시간에는
태양
광 스펙트럼 실험을 통해 가시광선의 정체를 탐구했던 아이작 뉴턴을 이야기한다. 이어 빛이 전자기파임을 예견했던 제임스 클라크 맥스웰 등 과학자들을 통해 현대 과학의 발전을 소개한다. 동시에 그들이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