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늘"(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연못 옆 동굴, 누가 깎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떨어지는 물은 흐르는 방향이 달라 동굴을 깎기는 어려워 보여요. 이 비밀을 풀려면 하늘에서 두타연을 내려다봐야 합니다. 위성지도로 이 지역을 보면 과거에 두타연을 흘렀던 하천의 흔적을 찾을 수 있어요. 놀랍게도 지금의 폭포가 있는 산등성이를 빙 돌아 현재의 동굴로 흘러온 것처럼 보이지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섭섭박사와 함께 그래비트랙스 200% 즐기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실험 예고매일매일 오늘의 달 시계 11월 15일자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시간에는 오늘 밤 하늘에 뜰 달 모양을 알려주는 ‘매일매일 오늘의 달 시계’를 만들 거예요. 함께할 친구들은 어과수 홈페이지에서 신청해 주세요.선발된 친구들은 매일매일 오늘의 달 시계를 만든 뒤, 꼭 기사로 써 주세요 ... ...
- [기획] 우리 기술로 하늘을 날다! 누리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도대체 누구야?내 안에서 뭘 하고 있는 거야?!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우리 기술로 하늘을 날다! 누리호Part1. [기획] 누리호 우리도 간다! 우주로Part2. [기획] 누리호 발사. 관전 포인트!Part3. [기획] 누리호 모두 함께 만들었어요 ... ...
- [기상 인터뷰] 이런 머리로 날 수 있었을까? 큰머리 익룡!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왔어. 아, 저기 있군! 그런데 그 큰 머리로 비행이 가능한가요?●익룡 : 중생대에 살던 하늘을 나는 파충류. 공룡과는 다른 생물로 분류한다. 자기소개를 부탁해! 나는 ‘투판닥틸루스 나비간스’라는 익룡이야. 우리는 중생대 백악기 초기인 약 1억 1200만 년 전, 현재의 브라질 지역에서 살았어. ... ...
- [지구사랑탐사대 현장취재] 전 세계 박쥐 연구자들에 외치다! 시티뱃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한편 제주에 사는 김도윤 대원은 “원래 새 탐사를 좋아했는데, 이번에 포유류 중 하늘을 나는 유일한 동물인 박쥐 탐사에 푹 빠졌다”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어요. 이어 “앞으로 제주의 박쥐는 내가 탐사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답니다. 앞으로 제주의 박쥐는 제가 탐사할 거예요.김도윤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ymcprince) 갑자기 하늘이 번쩍 빛나고 이내 우르르 쾅쾅! 소리가 나 깜짝 놀란 적 있나요? 하늘이 번쩍하고 빛나는 현상은 ‘번개’, 그 뒤를 이어 나는 소리는 ‘천둥’이에요.구름 안에는 양전하와 음전하를 띤 서로 다른 전기적 성질을 갖는 구름 입자들이 있어요. 번개는 양전하와 음전하를 띤 ... ...
- [특집] 뜨거워도 언다고? 별난 얼음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볼 수 있는 얼음 형태지. 여러분의 컵에 동동 떠 있는 얼음이 바로 나야! 날 따라와 하늘 높이~, 얼음 Ic특성 얼음 Ih의 준안정 상태.생성 조건 얼음 Ih를 영하 53~143℃로 냉각.나는 얼음 Ic! 다른 얼음과 달리 완벽히 안정된 결정 구조가 아니라서 얼음 Ih의 다른 상태로 분류돼. 지구에서는 매우 추운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이 영상을 보면 하늘을 나는 게 어떤 기분인지 느낄 수 있을 거야. 바람을 가르며 하늘을 누비는 기분이란…! 또, 우리 몸의 비밀을 찾고, 멋진 요리사가 되는 비법까지! 어과수TV로 구경하러 와! 이 몸이 새라면♪♬ 조회수 : 58만 회채널명 : Red Bull (구독자 수 : 1020만 명)눈 앞에 눈 덮인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바람으로 조명을 ON! 풍력 에너지타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실험 예고매일매일 오늘의 달 시계11월 15일자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시간에는 오늘 밤 하늘에 뜰 달 모양을 알려주는 ‘매일매일 오늘의 달 시계’를 만들 거예요. 함께할 친구들은 어과수 홈페이지에서 신청해 주세요.선발된 친구들은 매일매일 오늘의 달 시계를 만든 뒤, 꼭 기사로 써 주세요 ... ...
- [가상 인터뷰] 나무 점프의 달인, 여우청서의 전략 대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있는데, ‘청설모’를 다르게 부르는 표현이란다. 다람쥣과에는 우리 말고도 다람쥐, 하늘다람쥐 등이 있어.우리는 북아메리카의 숲에서 널리 사는데 북아메리카 청서류 중 가장 커. 전체 몸길이 45~70cm, 몸무게는 0.5~1kg이지. 뛰어난 시력과 청각, 후각을 가지고 있고 나무를 잘 오르는 특징이 있어.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