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시스템
혈통
가계
장치
계열
족보
뉴스
"
계통
"(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동물 연구 판도 바꾸는 게놈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0.11.14
만들 수 있게 됐음을 확인했다.
계통
분류학 정보를 이용해 1만135종의 조류를 분류한
계통
도다. 이번 연구를 통해 해독한 363종의 실제 조류 게놈은 보라색으로 표시했다. 전체 조류 과의 92.4%가 이번 연구를 통해 분석됐다. 회색 반호로 표시한 부분(아래)는 조류 중 가장 많은 종(6063종)이 포함된 ... ...
코로나19 'G유형 "세포에선 증식 왕성하지만 백신 효능 영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1.13
D614G의 강한 증식 능력을 확인한 것이다. D614G 변이(노라낵)과 WT유형(녹색)의
계통
도(왼쪽 위), 지역별 분포 비율(오른쪽 위), 게놈 지도(아래)를 표시했다. G유형이 주류로 자리잡았다. 넥스트스트레인 제공 이어 연구팀은 중증 코로나19 증상을 보이는 모델 동물인 햄스터 8쌍을 이용해 각각 두 ... ...
'사람→밍크→사람' 전파 게놈으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확진 판정을 받은 코로나19 환자 가운데 1775명의 시료에서 나온 바이러스 게놈을 해독해
계통
도를 그린 그림이다. 이 가운데 이번 밍크 농장에서 나온 밍크와 종사자의 게놈을 A~E의 다섯 클러스터(군)으로 묶어 표시했다. 연보라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이들 농장과 인접한 지역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 ...
논란의 밍크 유래 추정 코로나 변이 살펴보니 "관찰 필요하지만 과대 해석 금물"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2만2920번 염기서열이 A인 경우(녹색)과 T로 변한 변이(노란색)를 찾은
계통
도다. 위에 한
계통
에 집중적으로 발견된 게놈은 덴마크에서 나온 변이고, 그 살짝 위에 있는 변이는 러시아에서 발견된 변이다. 아래 하나 떨어져 있는 게놈은 네덜란드의 밍크에서 나온 변이다. 넥스트스트레인 화면 캡쳐 ... ...
[인간 행동의 진화]왕이 될 상은 따로 있을까
2020.11.08
식이다. 찰스 다윈은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에서 표정이 횡문화적인 보편성 및
계통
학적 일관성을 보인다고 했다. 긴 진화사를 통해서, 다양한 문화(심지어 동물까지)를 포괄하는 보편적인 표정이 진화했다는 것이다. 같은 표정을 많이 지으면, 상응하는 얼굴 주름이 생긴다. 이마의 석삼자 ... ...
한빛 5호기, 자동정지 원인 조사
동아사이언스
l
2020.10.26
있었다. 이 과정에서 신규 증기발생기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원자로출력급감발
계통
(RPCS) 동작 시험을 하던 중 증기발생기에 고수위가 발생해 원자로가 자동정지됐다. 원안위는 현장 지역사무소에서 초기 상황을 파악 중이며,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사건 조사단을 파견해 상세 원인을 ... ...
국산 항체치료제 후보물질 코로나19 주요 유전형에 효능
동아사이언스
l
2020.10.25
GISAID)의 자체적 분류에 따른 바이러스
계통
분포다. 특정 변이를 '마커'로 사용해 분류를 해나가고 있다. 초기에 S와 L이 분류됐고, L이 나중에 V와 G로 나뉘었다. 이 때 G 유형을 낳게 한 변이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614번 글리신 변이였다. G 유형은 워낙 많이 퍼져 나중에 GR과 GH로 다시 나뉘었다. GISAID는 ... ...
[코로나19 연구속보] 유전자 추적 '바코드'가 코로나19 전파와 진화 신속하게 찾아낸다
2020.10.22
국제인플루엔자데이터공유이니셔티브(GISAID) 등은 주요한 변이에 따라 바이러스
계통
을 분류하고 있다. GISAID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614번 변이를 주요 변이 중 하나로 보고 이 변이가 발생하기 전과 이후 유형, 그리고 이후에 다른 추가 변이를 기준으로 세분화하고 있다. GISAID의 경우 초기에 S와 L이 ... ...
[프리미엄 리포트]과일이 저마다 색으로 물드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10.17
섬나라 마다가스카르에서 열대식물 97종의 잎과 열매의 색을 조사했다. 그리고 식물들의
계통
(유전적 요인)과 외부 환경요인이 열매의 색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조류가 주로 먹는 열매의 색깔은 포유류가 주로 먹는 열매의 색깔보다 붉은색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코로나19 연구속보] 입원한 코로나19 환자 7명 중 1명은 뇌·신경에 손상 입는다
2020.10.15
혈액을 투입하는 의료장비인 ‘에크모’나 산소호흡기 등을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신경
계통
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 참고자료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20/10/201013101643.htm ※ 출처 : 한국과학기자협회 포스트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7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