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붙이
쇠
철
강철
금붙이
메탈
금부치
뉴스
"
금속
"(으)로 총 2,210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이 음식쓰레기·재활용품도 구분…복잡한 인간 촉각 모방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눈을 가린 채 크기, 모양, 강도가 비슷한 나무와
금속
을 손으로 만진 뒤 어떤 게
금속
인지 물으면 대답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가 냉감의 차이 때문이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로봇이 더욱 정확하게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열감을 적용한 촉각 감지 센서를 설계했다. 로봇이 물체를 만지는 동안 ... ...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금속
-강유전체-
금속
-강유전체-채널) 구조로 소자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새로운 소자의
금속
·강유전체층의 두께와 면적을 조절해 각 층에 전하가 저장되는 능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강유전체층에 걸리는 메모리 윈도우가 커져 정보 저장 능력이 높아지고 소자에 걸어준 전압이 ... ...
영하 80도 버티는 섬유형 태양전지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줄 수 있다"고 말했다. 플라즈모닉 효과는
금속
나노입자 표면에 특정 파장의 빛을 쬐면
금속
의 유도전자가 강한 진동을 일으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이다. 자발적으로 열을 내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송 책임연구원은 “하이브리드 바이오 나노구조체를 활용하면 전자소자의 성능과 ... ...
실내조명 활용해 초고감도로 이산화질소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300도 이상 가열이 필요해 상온 측정에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최근
금속
산화물 기반 광활성 방식 가스 센서가 주목받고 있지만 그동안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 또는 근자외선 영역의 빛을 활용하는 데 그쳤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사용하는 가시광의 영역을 녹색광까지 ... ...
이차전지 수명 3배 늘린다…새로운 리튬 복합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속도가 일정 조건에서 20%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복합소재를 리튬
금속
전지와 리튬황전지에 적용하자 전지의 수명이 크게 개선됐다. 대면적 파우치 셀에 적용했을 때 안정적인 충·방전 특성을 나타내며 실제 전지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최근 ... ...
1년 반 동안 새 수장 못 찾던 고등과학원 신임 원장에 노태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역임했다. 국내 응집물리학 권위자인 노 원장은 전이
금속
산화물 관련 연구 분야에서 헌신했다. 강유전체 박막에 관한 국내외 연구 분야를 선도했다. 강유전체는 외부 전기장 없이도 전하가 한쪽으로 쏠린 분극 상태를 유지하는 물질이다. 노 원장은 2004년 한국과학상, 2011년 대한민국 ... ...
그린수소 생산 고성능·고내구성 수전해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이온전도도가 높을수록 수소 생산 효율이 높다. 연구팀은 HQPC-TMA로 만든 음이온교환막을
금속
이 아닌 전극과 결합해 수전해 셀을 만들었다. 보고됐던 가장 튼튼한 수전해 셀보다 같은 조건에서 성능이 10배 느리게 감소했다. 셀 성능도 상용화된 소재보다 20% 이상 높은 이온전도도를 보여 세계 최고 ... ...
[과기원NOW] GIST-세브란스병원, 말단비대증 치료 위한 뇌하수체 종양모델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새로운 특성을 가진 고체 전해질을 개발해 안정성과 에너지 밀도가 높은 초박막 리튬
금속
전고체전지 플랫폼 구현에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액체가 아닌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을 높인 전고체전지는 차세대 전지이자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 ...
물속 미세플라스틱, 손쉽게 식별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8
활용해 물에서 미세플라스틱을 포집한 뒤 '표면 강화 라만 분광법(SERS)'이라는 방법으로
금속
폼에 있는 물질의 광학 데이터를 얻었다. 이후 '스펙앳넷(SpecATNet)' 이라는 인공 신경망 컴퓨터 알고리즘을 만들어 광학 데이터의 패턴을 학습시켰다. 학습된 알고리즘은 빠르고 정확하게 목표 ... ...
리튬이온전지 성능 '업'…흑연 대체 실리콘 음극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자가 복원력을 가진 액체
금속
의 갈륨의 장점을 가진 소재를 만들었다. 볼밀링은
금속
실린더와 볼로 구성된 분쇄 장치로 실린더가 회전할 때 볼과 재료가 마찰과 원심력에 의해서 재료를 미세한 분말로 분쇄할 수 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리튬이온전지 에너지밀도를 향상시키기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