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유
원인
근거
연유
동기
사유
형편
뉴스
"
까닭
"(으)로 총 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올해 노벨상 가져다준 힉스입자, 우리도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1
GEM 검출기는 테니스코트 2개 넓이(약 260㎡)에 달한다. 뮤온 입자 검출이 중요한
까닭
은 빛 속도에 가깝게 가속된 양성자가 충돌해 만들어진 힉스 입자가 붕괴하는 방법 중 뮤온으로 붕괴하는 과정이 가장 명확하게 판명돼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뮤온 입자는 잠깐 나타났다 사라지는 힉스 ... ...
신혼부부가 밥보다 중요하다는 것,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0.20
암수 중 수컷이 지느러미를 잘 재생하지 못하는
까닭
은 생존 대신 번식을 택했기 때문이다 - Developmental cell 제공 사람은 다쳤을 경우, 상처가 아무는데 꽤 시간이 걸린다. 심지어 아차하는 순간 손가락이 잘렸을 경우 도마뱀 꼬리나 물고기 지느러미처럼 자라는 일은 결코 발생하지 않는다. 자연의 ... ...
“하느님하고 과학자가 싸우면 누가 이기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0.13
가장 재미있고 유용한 학문’이라고 설명한다. 이런 극단적인 시각차이가 생기는
까닭
은 ‘수학의 필요성’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천재로 불리는 옥스퍼드대 한국인 수학교수가 ‘수학의 필요성’을 알기 쉽게 해설한 책을 썼다. 저자인 김민형 교수는 수학계에서 풀기 어려웠던 페르마 ... ...
[노벨화학상 특집] “고등학교 화학실험에서 화학자의 길 찾았어요”
과학동아
l
2013.10.11
무지개를 보았다”고 말했다. 황산구리가 물 전체에 녹아 새파랗게 되는 대신 층을 이룬
까닭
은, 황산구리가 물에 잘 녹긴 하지만 확산 반응이 매우 느리게 일어났기 때문이다. 이 실험에 대한 강렬한 기억 때문이었을까. 콘버그 교수는 “대학원에 가서도 확산 반응을 주제로 계속 연구를 해 ... ...
왕릉을 앞뒤로 배치한
까닭
은?
동아사이언스
l
2013.08.26
인선왕후릉(앞)과 효종영릉(뒤)가 앞뒤로 나란히 쌍릉을 이룬 동원상하릉이다. - 이종호박사 제공 다음해에 왕릉 앞에 인선왕후 능을 써서 좌우로 이웃한 다른 쌍릉과는 달리 앞뒤로 나란히 쌍릉을 이룬 동원상하릉이다. 이와 같은 형태는 조선왕릉 가운데 성북구의 의릉(경종)과 더불어 2개뿐이 ... ...
BMW 첫 전기차 i3 포착 “국내엔 언제쯤?”
동아닷컴
l
2013.07.06
동아닷컴 인턴기자 dajung_lee@naver.com [화제의 뉴스] - 설운도가 ‘적군 묘지’서 노래하는
까닭
은… - 국수-선식-환약에도 ‘불량 가루’ 들어갔다 - 삼성전자 가고픈 이유? 연봉 아니라… - 홍명보 “내 매뉴얼에 SNS는 없다” [관련 뉴스] - 도심형 프리미엄 전기차 ‘BMW i3’ 국내 출시 D-365 - BMW, ... ...
‘세기의 재판’ 인간 유전자는 특허 대상 될 수 없어
과학동아
l
2013.07.03
브라카 유전자 검사 비용은 3340달러(한화 약 377만 원) 이상 든다. 검사가 이렇게 비싼
까닭
은 브라카 유전자의 특허를 독점하는 ‘미리어드 지네틱스’란 생명공학회사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앞으로는 이 유전자 검사 비용이 싸질 전망이다. 6월 13일 미국 대법원은 브라카 유전자 자체에 ... ...
'컬러'로 구분하는 적외선 분석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31
자제하도록 요청하는 한편 단속을 하기도 했다. 지금은 현장에서 직접 온도를 측정하는
까닭
에 단속 효과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이 때문에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해 과다 냉난방을 단속하자는 말이 나온다. 건물을 향해 적외선 카메라를 비췄을 때 표면 온도가 유난히 낮거나 높을 경우 과다 ... ...
가뭄 때문에 농사 어렵다? 인공강우로 제2의 농업혁명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4
구름이 적합하다. 인공강우는 대기 정화, 산불 예방, 가뭄 해결 등의 기대효과가 큰
까닭
에 전세계적으로 연구가 활발한 상태다. 중국은 매년 4만 여명의 연구인력과 800억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자하고 있고, 미국의 경우 인공강우를 통해 장마철 집중호우를 분산시키기 위한 연구까지 진행 중이다 ... ...
광해군과 정원군의 싸움, 최후의 승자는?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2등에 봉해지기도 했다. 왕을 뜻하는 ‘종’이란 묘호를 갖고 있음에도 우리에게 낯선
까닭
은 사후 추존됐기 때문이다. 원종은 사망할 때 정원군(定遠君)인 ‘군(君)’의 신분이었기 때문에 경기도 양주 곡촌리(현 남양주시 금곡동) 처갓집 선산에 초라하게 묻혔다. 그런데 ‘인조반정’으로 ... ...
이전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