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양
생김새
건초
마른 풀
마초
사료
형식
뉴스
"
꼴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짜게먹는 네 자매, 비만-고혈압 닮은
꼴
… 무서운 ‘습관 DNA’
동아일보
l
2015.01.30
[동아일보] [2015 건강 리디자인] [당신의 건강가계도를 아십니까]病 부르는 후천적 유전 “짜게 먹고, 운동 안 하고, 생활도 불규칙하니 건강할 리가 있겠어요?” 정순영 씨(62)는 4자매 중 셋째다. 이들 자매는 외모뿐 아니라 사는 모습도 비슷하다. 이들 모두 젊은 시절 산후 조리도 제대로 안 하고, ... ...
뜨개질 도와주는 수학
2015.01.21
짜려면, 기본 패턴의 시작점부터 끝점까지의 경로와 단위 격자를 이어 붙인 경로가 닮은
꼴
이 돼야 한다. ● 수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뜨개질 수학자들은 최적의 뜨개질 방법을 찾기도 한다. 보통 티셔츠 하나를 개려면 4번을 접어야 하지만 처음에 잡는 위치를 잘 선택해 개면 단 2번 만에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만드는 전이를 억제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지니고 있지만 여전히 100세대에 한 개
꼴
로 생식세포에서 전이가 이뤄지고 있다. 체세포의 경우는 노화에 따라 더 빈번하게 L1 전이가 일어나면서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 사이언스 제공 논문은 이 과정에 내인성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봐도 된다고. 이에 대해 필자들은 엉뚱한 데 찬 공을 골로 만들려고 골대를 옮기는
꼴
이라고 반박했다. 데이터가 뒷받침하지 않으면 아무리 아름다운 이론이라도 잘못된 길을 가고 있는 것일 수 있다고 반박한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설(천동설)이나 프레드 호일의 정상상태우주론 이 그런 ... ...
우리가 걸을 때 쓰는 근육 몇 개나 될까
2014.12.15
걷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성공했다. -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제공 250명당 1명
꼴
로 태어나는 선천성 뇌성마비 장애인은 뇌에 손상을 입고 태어난다. 뇌성마비 장애인의 가장 큰 불편은 근골격의 변형으로 잘 걸을 수 없다는 점이다. 정상인과의 구조적 차이에서 발생한 비정상적인 보행은 ... ...
‘내 머릿속의 지우개’ 해답 찾았다
2014.11.25
더 어린 나이에 알츠하이머가 찾아오는 병이다. 보통 10대에 찾아오며, 15만 명 중 1명
꼴
로 이 병을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병이 일어나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진희경 경북대 수의학과 교수와 배재성 경북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공동연구팀은 줄기세포를 이용해 ... ...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생긴 학습장애 치료법 찾았다
2014.11.11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법까지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누난증후군은 1000~2500명에 한 명
꼴
로 나타나는 발달질환으로 선천성 심장병, 안면기형, 작은 키 등의 증상을 보이며 환자의 30~50%에게서 학습장애가 나타난다. 지금까지 주로 증상에 대한 연구가 이뤄졌을 뿐 학습능력이나 인지적인 측면에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유전학 패러다임에서는 자녀가 “내가 지금 이 모양 이
꼴
로 사는 게 엄마아빠한테 받은 유전자 탓”이라고 항의해도 “그게 왜 내 탓이냐? 나도 내 부모한테 물려받은 것뿐인데”라고 빠져나갈 수 있었지만 후성유전학 패러다임에서는 “그래 미안하다. 내가 제대로 못 ... ...
‘류현진 직구급’ 우주선이 지구로 돌진?
과학동아
l
2014.07.08
물리학과 제공 ‘류현진 직구급’ 우주선은 서울시 면적 만한 크기에 약 1년에 1개
꼴
로 떨어진다. 이런 위력적인 우주선이 날아오는 데도 지상에 피해가 생기지 않는 까닭은 우주선이 지구 대기권과 충돌하면서 대부분 가벼운 입자로 바뀌어 위력이 분산되기 때문이다. 드문드문 날아오는 ... ...
브라질 월드컵엔 '아침형 인간'이 유리
과학동아
l
2014.06.11
아침형 인간은 아무나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통계적으로 아침형 인간은 열 명 중 한 명
꼴
로 있다. 아침형 인간과 ‘저녁형 인간’의 ‘과학적인’ 차이는 유전자다. 2003년 사이먼 아처 영국 서레이대 교수팀은 유전자 ‘PER3’의 길이가 평균보다 길면 아침형 인간이 된다는 연구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