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초
플라워
조화
생화
플라우어
flower
뉴스
"
꽃
"(으)로 총 98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건기연, '플라워 버킷 챌린지' 참여해 시설관리 직원에
꽃
전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3.26
참여했다고 26일 밝혔다. 건기연은 캠페인을 통해 연구원 시설관리 직원 40여 명에게
꽃
화분을 증정했다. 한승헌 건기연 원장을 비롯한 임직원들은 "시설관리 직원들은 이동공간과 손잡이 소독 등 묵묵히 맡은 바 업무를 수행해왔다"며 "그간 노고에 감사하는 뜻깊은 자리가 되었다"고 밝혔다. ■ ... ...
[과학게시판] 항우연, 성금 3022만원 기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3.25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
꽃
선물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했다고 24일 밝혔다.
꽃
선물 릴레이 캠페인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훼농가를 돕기 위한 것으로 공공기관과 지역자치단체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 ...
KAIST "올해엔 벚
꽃
구경하러 오지 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이 시기엔
꽃
을 즐기려는 지역주민과 외부인의 출입이 잦다. KAIST 관계자는 “매년 벚
꽃
구경을 하러 평일 주야간은 물론 주말에도 밀려드는 방문객들을 위해 교정을 개방해왔다”며 “코로나19 확산방지와 정부의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에 동참하기 위해 올해는 캠퍼스 출입을 엄격히 ... ...
[인류와 질병]불과 철 같은 감염성 질환과 인간의 공진화
2020.03.15
과업에 달려있다’라고 하기도 했다. 물론 히틀러도 매독을 앓았다. 매독(梅毒)은 매화
꽃
모양의 피부 궤양이 생기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가장 유명한 성병 중 하나라서 매춘부의 ‘매’를 연상하는 경우도 있는데, 후자는 매(賣)다. 물론 당시 유럽 사회에 난립한 매음굴이 매독 전파의 일등 ... ...
코로나19는 어떤 방식으로 생명을 앗아가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2.26
만들어 폐를 마르지 않게 하고 병원균으로부터 보호하는 점액세포와, 점액 주변에서
꽃
가루나 바이러스 등을 걸러주는 머리카락처럼 생긴 섬모세포다. 사스와 메르스 전문가인 매튜 프라이먼 미국 메릴랜드대 의대 교수는 “사스 바이러스는 폐세포 중에서도 주로 섬모세포를 감염시켜 손상시키는 ... ...
AI, 환희로 찌푸린 얼굴 보고 “화났군요”
2020.02.24
수 있다는 것이다. 가짜뉴스를 판별하는 AI 시스템의 한계도 거론됐다. AI 만능론이
꽃
피면서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는 가짜뉴스를 판별하는 AI 개발이 조심스럽게 시도되고 있다. 엠마 스피로(Emma Spiro) 워싱턴대 사회학과 교수는 2013년 발생한 보스턴 마라톤 테러 사건 당시 11세 여자 어린이가 ... ...
[표지로 읽는 과학]기후변화가 바꾼 겨울의 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20.02.23
버지니아 풍년화는 기후변화로 인해 평년보다 일찍
꽃
을 피우고 있다. 이런 현상은
꽃
의 수정에 관여하는 새나 곤충과의 상호관계에 영향을 준다. 결과적으로 전체 생태계에 혼란을 가져온다. 사이언스는 오는 6월 21일부터 26일 미국 뉴햄프셔 워터빌밸리에서 열리는 ‘고든 리서치 컨퍼런스’를 ... ...
80종 넘는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임상시험 진행中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완화하기 위해 쓰이는 '쌍황련'이다. 쌍황련은 속썩은풀(황금)의 뿌리와 인동덩굴의
꽃
, 의성개나리의 열매(연교)를 건조시켜 추출한 물질이다. 과거 중국에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유행할 때도 치료효과가 있었으며, 최근 코로나19 치료에도 효과가 있음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꿀벌 장내 미생물 조작해 기생충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2
‘바로아 응애’ 모습을 31일 표지로 실었다. 바로아 응애는 진드기의 일종으로 꿀벌이
꽃
에 꿀을 따러 올 때 몸에 착 달라붙어 벌집으로 이동한다. 벌집으로 이동한 바로아 응애는 꿀벌 유충에 기생해 번식을 시작한다. 번식 속도가 꿀벌보다 빠를 뿐 아니라 꿀벌에 바이러스성 질병까지 퍼뜨려 꿀벌 ... ...
연구개발특구 신년인사회 강소특구 첫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0.01.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이달 22일 오후 대전 유성구 ICC호텔에서 '2020년 연구개발특구 신년인사회' 를 열었다. 박종 ... 과학기술 중심지”라며 “연구개발특구의 과학기술 성과들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혁신으로
꽃
피울 수 있도록 구성원들이 앞장서 달라”고 말했다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