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9,924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아 뇌 속 '만능세포' 분화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신경세포(뉴런) 또는 교세포(글리아)로 전환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스위치 단백질을
발견
했다고 24일 밝혔다. ‘만능세포’로 불리는 신경줄기세포는 태아의 뇌 발달 초기에 많이 발생한다. 신경세포나 교세포 등 여러 종류의 세포로 분화하는 다재다능한 세포다. 신경줄기세포가 뇌 발달의 어느 ... ...
남극 바다얼음 사라지면 폭풍 늘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데이터를 분석해 2023년 겨울 비정상적인 수준으로 해빙 면적이 줄어든 지역 3곳을
발견
했다. 1991~2020년 6~7월 평균 면적에 비해 줄어든 면적이 최대 80%에 달했다. 해빙의 면적이 줄어들면 해수 온도가 높아진다. 흰색을 띠는 해빙은 태양 빛을 반사하지만 해빙이 녹아 어두운 바다가 드러나면 ... ...
"일본·북한 연구자 공저자 논문 8건…대북 제재 위반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2
소속된 연구자들이 2016년 이후 북한 연구자들과 함께 공저자로 이름을 올린 논문이 8편
발견
됐다고 보도했다. 2016년 국제연합(UN)이 결의한 회원국과 북한과의 과학 기술 협력을 금지한 대북 제재를 어겼을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사이언스의 보도는 지난달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 ...
암세포, 정상세포로 되돌려 치료 가능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2.22
입증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가역화 하는 것이 우연한 현상적
발견
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암세포 유전자 네트워크의 디지털 트윈을 제작하고 분석함으로써 체계적으로 접근해 이루어낼 수 있음을 보이는 원천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이 기술을 다른 다양한 암종에 응용하여 ... ...
집에서 손쉽게 방광암 조기 진단 키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22
매우 높은 편이다. 다만 재발률이 70%에 달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늦게
발견
될 경우 방광 제거 수술 후 인공 방광을 이식하거나 소변 주머니를 사용하는 대수술이 필요해 환자의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된다. 현재 방광암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변 검사 키트는 민감도가 낮다 ... ...
구경꾼 이온, 실제론 반응 핵심…교과서 뒤집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1
분석한 결과 이산화나트륨(NaO2)이라는 새로운 중간체 화합물을 생성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알칼리 금속 이온이 반응물과 직접 결합해 반응성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연구팀은 "양이온이 반응물과의 화학 결합을 통해 활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라는 것을 보여준다"며 "효율적인 ... ...
현대인이 고대 인류보다 잘 달리는 비결은?
동아사이언스
l
2024.12.20
화석 '루시'의 골격을 바탕으로 3D 디지털 모델을 만들었다. 루시는 1974년 에티오피아에서
발견
돼 올해 50주년을 맞은 고인류 화석의 상징이다. 직립보행 진화의 주요 증거 중 하나로 꼽힌다. 루시의 3D 모델로 달리기 능력을 시뮬레이션하는 장면. Current Biology/Bates et al. 제공 연구팀은 현대 ... ...
국립암센터 직원 피폭량 기준 미만…과태료 700만원 부과 예정
동아사이언스
l
2024.12.20
임의로 껐다. 15분 뒤인 12시 50분에 정비작업자는 CCTV 상단 모니터 전원이 꺼진 것을
발견
했지만 가속기 중심을 비추는 하단 모니터에 특이사항이 없고 치료실 문이 닫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가속기를 가동했다. 피폭자는 가속기 가동 소리를 듣고 밖으로 나오면서 출입문을 열었고 이때 ... ...
2024년 과학 이슈·신기술 담은 '올해의 단어'
동아사이언스
l
2024.12.20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밝혀낸 것이 대표적이다. 아인슈타인의
발견
은 결국 양자역학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최근 양자역학이 물리학계를 이끌면서 입자가 파동성을 동시에 가졌다고 보는 단어 웨이비클이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미국 물리학자 매트 스트라슬러는 최근 ... ...
[과기원NOW] 교모세포종 '항암제 내성' 극복할 단서 찾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결핍된 테모졸로마이드(TMZ, 항암제) 내성 세포에서도 항암제 민감성이 개선된다는 점을
발견
했다. MMR 유전자 결핍은 TMZ 내성 원인 중 하나다. APE1 등 표적 유전자에 암호화된 단백질을 억제하는 약물과 TMZ를 병용하면 교모세포종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