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림
삼림
수풀
덤불
잡목림
입목
임야
뉴스
"
숲
"(으)로 총 82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정아의 미래병원] 감염질환부터 우울증· 트라우마까지 잡는 백신
동아사이언스
l
2020.01.12
체내에서 발생하는 염증 반응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로리 교수는 "과거 인류는
숲
이나 초원에서 생활하면서 이 세균과 접촉을 많이 했지만 도시화하면서 노출이 적어져 스트레스 관련 정신질환과 염증성 질환이 많아졌다"며 "이 세균을 가열하는 등 유해성을 없애 백신을 만들면 PTSD를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감염
2020.01.11
심리적인 부분도 있을 것이다. 해변이나 강물,
숲
이 우거진 산에는 먹을 것도 많아서 좋아하는 심리가 진화했을 것이다. 하지만 기분만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 있다. 인류가 오랜 세월 동안 같이 지낸 감염성 친구 외에도 ... ...
불타는 호주…기후변화는 이미 당신 옆에 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것이다. 호주에서는 지금 보금자리들이 불타고 있다. 집이 불타고, 대체할 수 없는
숲
이 불타고 있다. 멸종위기 종이자 보존가치가 높은 코알라 같은 동물마저도 산불에 희생되고 있다. 호주 대륙이 불타고 있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정작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호주가 겪고 있는 ... ...
[호주 대화재] 최대 피해자는 야생동물…국가 상징 코알라 30% 떼죽음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가져 대형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나라 중 하나다. 여기에 유칼립투스 나무가 많은 호주의
숲
도 산불을 키우는 역할을 한다. 유칼립투스는 기름 성분을 공기 중으로 퍼트리는 특성이 있고 잎은 바싹 말라 있어 불길을 키우는 장작 역할을 한다. 호주가 원산지인 식물 뱅크시아는 아예 산불을 이용해 ... ...
KIST, 뉴로바이오젠에 인지장애유발 'GABA' 억제제 기술 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KDS2010 약물을 척수 손상 및 뇌졸중 치료로 확대한 것으로 뉴로바이오젠은 메가바이오
숲
의 자회사다. 선급금 4억원에 임상 진행에 따른 단계별 기술료는 총 24억원이다. 연구팀은 KDS2010이 척수 손상 회복효능 및 치료에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뇌졸중을 일으킨 동물모델의 퇴화된 ... ...
공포감을 주는 악마 손가락 버섯
팝뉴스
l
2019.12.23
수 없다. 화제의 사진은 뉴질랜드에서 촬영되었다. 많은 네티즌들은 어둡고 외딴
숲
에서 이 버섯을 보면, 정신줄을 놓게 될 것 같다고 말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美 뉴욕에서 가장 오래된 '
숲
'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이
숲
화석 주변에서 물고기 화석이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거대한 홍수가 덮치면서
숲
이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이 미국 뉴욕주 폐 캐석장에서 발견한 고대 나무 아르케오프테리스의 뿌리 화석. 현존하는 나무처럼 굵은 원뿌리 주변으로 잔뿌리들이 무성하게 뻗은 것을 알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혈압 예방에 유산소운동이 좋은 진화론적 이유
2019.12.17
건 불과 수백만 년 동안 인류가 독특한 진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다른 유인원들과는 달리
숲
에서 벗어나 사바나를 돌아다니는 수렵채취 생활을 잘 할 수 있게 몸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유인원은 정적인 존재다. 예를 들어 침팬지는 하루에 걷는 거리가 4㎞가 안 되고 대부분의 시간을 먹거나 ... ...
작았던 천연기념물 애벌레, 과학관에서 성체로 탈바꿈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국립과천과학관이 천연기념물 218호이자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장수하늘소 애벌레를 성체로 키우는 데 성공했다. 왼쪽은 아직 애벌레 상 ... 현재는 경기도 포천시와 남양주시에 걸쳐 있는 광릉
숲
이 주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광릉
숲
이외의 자연서식지는 1969년 이후 발견된 적이 없었다. ... ...
[화보+]영국왕립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사진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몸부림치고 있는 장면을 담았다. 말뚝망둥어는 동남아시아에서 흔하며 대개 맹그로브
숲
에서 살아간다. 어류이지만 공기 중에서 오래 버틸 수 있다. 특히 수컷은 성질이 사나워서 자주 영역 다툼을 벌인다. 로렌트 머천트/영국왕립학회 제공 지구과학과 기후학 부문의 수장작은 '유콘의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