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안테나"(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봄은 고양이로다…고양이 연구들 ①2018.05.03
- 다릅니다. 고양이도 깊이 잠드는 REM 수면을 경험하지만, 자면서도 항상 귀와 수염이 안테나처럼 주의를 기울입니다. 이상한 소음으로 인해 잠에서 깨면 곧바로 인지하고 대응합니다. 물론 집안에서 생활하는 고양이들은 굳이 먹이를 위해 사냥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사냥 본능은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코딩 로봇을 만들어보자! 과학동아 l2018.05.01
- 사용할 수 있는 코딩 로봇이에요. 한 손에 잡히는 자그마한 본체에 머리에는 안테나가, 앞에는 두 눈과 입이 있지요. 뚜루뚜루는 세 가지 방법으로 코딩할 수 있어요. 우선 뚜루뚜루 상자에 들어있는 컬러 카드를 이용해 직접 코딩을 할 수 있어요. 또는 뚜루뚜루를 블루투스로 스마트폰에 연결한 후 ... ...
- 통신 문제로 골든타임 놓치지 않게...무전기 내장 소방 헬멧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4.18
- 헬멧을 쓰면 내장된 안테나와 스피커를 통해 작전과 요청 사항을 또렷하게 들을 수 있다. 안테나와 스피커는 탈부착이 가능한 소형 모듈로 제작해 무게를 최소화했다. 방수 기능이 있어 물로도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거친 화재 현장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포항남부소방서 심학수 예방안전과장은 ...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2018.04.11
- 것을 기쁘게 생각했다. 한 예로 1969년 당시 미국 메릴랜드대 조지프 웨버는 알루미늄관을 안테나로 사용해 중력파를 포착했다고 주장했다. 호킹은 웨버의 놀라운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 지도학생과 함께 중력파 분출 탐지의 이론을 논문으로 쓰기도 했다. 그는 더 민감한 탐지기를 설계해야한다고 ... ...
- [세상을 바꿀 5G 이야기] ② 1초에 2GB씩 주고받는 밀리미터 웨이브2018.04.09
- - 최호섭 제공 이 기술이 스마트폰에 들어갈 가능성은 더더욱 낮습니다. 모뎀이나 안테나 기술도 갖춰지지 않았습니다. 그렇다고 실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3.5GHz대 5G만 해도 이미 다운로드 속도가 지금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릅니다. 그리고 LTE와 마찬가지로 그 대역폭이 부족하면 새로운 ... ...
- 배터리 필요 없는 초박형 피부 센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4.05
- 이용해 수십 개에서 수백 개의 센서 신호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안테나를 침대에 설치하고 수면 중 나타나는 전신 체온 변화를 측정해 생체 신호 지도를 그려내는 데 성공했다. 한승용 교수는 “스마트 헬스 케어 분야 기술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원천 기술 확보의 ... ...
- [세상을 바꿀 5G 이야기] ① 첫발 떼는 5G, 핵심은 주파수 2018.03.23
- LTE와 달리 새로 개척된 두 가지 주파수가 주인공이 됩니다. 표준이 윤곽을 잡으면서 안테나를 비롯한 기지국 기술도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노키아의 28GHz 밀리미터웨이브 안테나. - 최호섭 제공 우리나라는 3.5GHz를 주로 이용합니다. 미국이나 유럽을 비롯해 대부분의 시장들이 3.5GHz로 5G를 ... ...
- 다이어트 식단관리, 패치형 치아 센서로 해결동아사이언스 l2018.03.22
- 구성된다. 생체반응 층에서 영양소를 감지하고, 사각고리형 층이 다른 기기와의 안테나 역할을 맡는다. 또 파란색 띠층에서는 감지한 음식 정보를 라디오 주파수의 파장으로 변환해 전송한다. 소금이나 에탄올, 포도당 등 다양한 음식을 강도와 세기가 다른 파장으로 구분해 데이터화 하는 것이다 ... ...
- 눈물로 혈당 재는 ‘스마트 렌즈’과학동아 l2018.03.13
- 켜지면 정상, 꺼지면 혈당이 높다는 의미다. 렌즈 작동을 위한 전기는 외부에서 무선 안테나를 통해 공급받는다. 연구팀이 토끼에게 스마트 렌즈를 착용시켜 실험한 결과, 눈물의 포도당 농도에 따라 LED가 점멸하면서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월 2 ... ...
- 빅뱅 후 2억년, ‘우주의 새벽’ 단서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8.03.01
-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지구및우주탐사과 주드 보우만 교수팀은 사막에 설치한 작은 안테나를 이용해 발견한 신호를 분석, 빅뱅 이후 1억 8000만년이 지난 초기 우주의 별에서 나온 빛의 흔적임을 확인했다고 28일(현지시각)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서호주에 위치한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