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륙
내지
벽지
변경 지방
깊숙한 곳
시골
촌구석
뉴스
"
오지
"(으)로 총 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영장에서 ‘쉬~’ 하지 마세요
2014.07.21
오지
서바이벌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면서 2~3년 전 이벤트성으로 여성 연예인들이
오지
체험을 한 프로그램이 방영된 적이 있다. 아무래도 여성들이라서 그런지 몰라도 화장실이 큰 문제여서 한참 자리를 물색한 끝에 구석진 자리에 변소를 만드는 법석을 떨었다. 그런데 한 연예인은 ‘신호가 ... ...
이유없이 어지럽고 가슴 두근… 어르신들 ‘불안장애’ 의심을
동아일보
l
2014.07.21
받아봤지만 별다른 이상을 발견하지 못했다”며 “이유 없이 초조하고 불안해 잠도 잘
오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박 씨처럼 검사에 아무 이상이 없지만 어지럼증, 가슴떨림, 호흡곤란, 소화장애 등의 증상이 계속될 때는 ‘불안장애’를 의심해 봐야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1일 발표한 조사에 ... ...
마른 장마의 원인은? “비 좀 왔으면 좋겠다”
동아닷컴
l
2014.07.15
동아닷컴] ‘마른 장마 원인’ 장마기간에도 비가
오지
않고 폭염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마른 장마’의 원인을 알고 싶어하는 네티즌들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기상청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이달 13일까지 중부 지방의 평균 강수량은 11.2mm에 불과했다. 이는 평년 강수량 268.4mm의 ... ...
동식물 직접 탐사하며 가족끼리 미션 수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7.14
소감을 밝혔다. 임정연 탐사대원은 “바위 꼭대기에서 몸을 꼿꼿이 세우고 천적이
오지
않는지 감시하는 프레리독을 보고 세상에는 평소 좋아했던 강아지 외에도 귀여운 동물이 많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장이권 교수가 탐사대원들과 함께 메뚜기를 관찰하고 있다. - (주)동아사이언스 ... ...
쌍성 도는 행성 '중력렌즈'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7.04
중 이상한 낌새를 감지했다. 은하 중심부에서 출발한 별빛이 지구로 곧장 직진해
오지
못하고 휘어버리는 현상, 즉 중력렌즈 현상을 발견한 것이다. 연구진은 세계 곳곳에 설치된 천문대에서 보내온 천문데이터를 정밀 분석해 중력렌즈 현상을 일으킨 ‘범인’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정체는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3분만에 고기들이 찾아왔다고. 반면 낯선 사람이 와서 똑같이 먹이를 내밀어도 고기들은
오지
않는다고. 또 물고기의 학습능력을 보여주는 예로 아침에는 수족관 이편에, 저녁에는 저편에서 먹이를 주는 실험이 있다. 모기잡이(송사리류)와 갤락스드는 2주 정도가 지나자 이 패턴을 알아차리고 ... ...
드론이 찍은 야외 결혼식 LTE로 실시간 생중계
동아일보
l
2014.05.26
뜬 무인기(드론)였다. 롱텀에볼루션(LTE) 통신망과 연결된 두 대의 드론은 이날 결혼식에
오지
못한 부부의 지인들에게 결혼식을 생중계했다. 세계 최초로 진행된 이번 ‘LTE 생중계 결혼식’은 신랑 곽 씨의 아이디어. 수도권에 비해 거리가 멀고 교통편이 불편한 곳에서 예식을 올리는 탓에 ... ...
시어도어의 사랑은 축복받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5.18
채 오직 한 아이돌 멤버와의 교류만을 꿈꾸던 마츠코는 수백 장 분량의 팬레터를 보내도
오지
않는 답장을 기다리다가 다시 절망에 빠지고 만다. 이처럼 실체가 있는 대상과의 불화 때문에 발생한 무기력과 우울을 실체가 없는 대상과의 교감으로 극복하려는 문제해결 방식은 분명 한계가 있어 ... ...
"2~3년 뒤 중력파 직접 측정할 수도"
과학동아
l
2014.04.05
왜 이렇게 늦게 발견됐냐”고 질문했다. 이 단장은 “중력파는 우주 어디서나
오지
만 크기가 워낙 미미해서 발견하기가 어려웠다”면서 “1광년에 0.03mm가 변하는 정도를 측정해야 알 수 있다”고 답했다. 이 단장은 현재 미국과 이탈리아, 독일은 이런 미세한 변화를 직접 측정하기 위해 장비를 좀 ... ...
"로빈슨 크루소처럼 무인도 가더라도 문제없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취약한 곳에서도 태양열이나 발전소 폐열 등을 이용해 식수로 만들 수 있어 섬이나
오지
, 저개발 국가 등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태양열 해수담수기는 과거에도 있었지만 ‘축열조’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축열조 방식은 태양열 집열기에서 모아진 열을 축열조에 저장한 후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