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어
나랏말
한국말
국어과
국어과목
우리말
한국어
뉴스
"
우리나라말
"(으)로 총 1,20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의 사과
2020.01.0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향집 울즈소프에서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했다는 뉴턴의 일화는 유명하다. 이 일화의 진위를 놓고도 의견이 분분하다. 다만 1666년의 어느 날 갑자기 사과가 뉴턴의 머리 위에 떨어졌고, 잠시 뒤 “유레카”의 순간이 뉴턴에게 떠오른 그런 영화 같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
2019.12.26
아이작 뉴턴이 1687년에 출판한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표지. 아이작 뉴턴의 생일로 알려진 1643년 1월4일은 새 달력인 그레고리력 날짜이다. 당시에 영국에서는 아직도 옛 달력인 율리우스력을 썼다. 그레고리력이 처음 시행된 것은 1582년이었고 영국에서는 1752년 도입했다. 그레고리력과 율리 ... ...
[인류와 질병]알레르기의 진화
2019.12.21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이 점점 늘고 있다. 지난 수십 년 간 알레르기성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주로 산업화된 국가에서 두드러진다. 미국의 경우 인구의 10%가 알레르기성 비염을 앓고, 알레르기성 천식을 앓는 사람도 3%에 달한다. 급속도로 산업화된 ... ...
[데스크칼럼] 중앙과학관장 '귀환'과 중력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공무원은 가라면 가고 오라면 오는 사람이다. 이 부처, 저 부처로 자리를 옮겨다니는 고위공무원들의 입에서 흔히 나오는 말이다. 공직 사회에 대해 각별한 애정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면 고개를 끄덕할 만한 이야기다. 하지만 이건 좀 심하다. 우리나라 과학문화의 중심지 국립중앙과학관의 이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혈압 예방에 유산소운동이 좋은 진화론적 이유
2019.12.17
수컷 고릴라로는 처음 수화를 할 줄 알았던 마이클(Michael. 사진)은 지난 2000년 27살 한창 나이에 비대성 심근증으로 죽었다. 마이클의 단짝이자 수화를 유창하게 구사했던 암컷 고릴라 코코(Koko)는 47살인 지난해 자다가 죽었다(자세한 설명은 없으나 심장마비로 보임). 사람을 제외한 포유류는 굶주림 ... ...
[인류와 질병] 남성 10명 중 4명 울리는 탈모
2019.12.14
연합뉴스/게티이미지 제공 탈모는 전 세계 남성의 42%가 앓고 있으며, 국내에서만 매년 20만 명이 병원을 찾는 질병이다. 관련 시장 규모만 48억 달러에 이른다. 한국의 남성 탈모인은 1000만 명에 이른다. 이웃나라 중국은 2억 5000만 명이다. 탈모는 죽는 병은 아니지만, 심리적 스트레스는 상당하 ... ...
[프리미엄리포트] '겨울왕국' 엘사가 바다 얼리는데 쓴 에너지는 얼마일까
2019.12.07
‘얼음’ 하면 떠오르는 애니메이션 '겨울왕국' 주인공 ‘엘사’가 두번째 시리즈로 돌아왔다. 엘사는 눈과 얼음을 자유자재로 만들고 조종하는 능력자다. 손에 닿는 모든 것을 단단하게 얼릴 수 있으며, 바닷물을 얼려 그 위를 걸어 다닐 수도 있다. 이 작품들의 예술성에 감탄할 뿐이지만, 어느 ... ...
[인류와 질병] 우리는 왜 위험한 선택을 할까···질식분만의 진화
2019.11.3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제왕절개는 주산기 사망률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킨 의학적 개가다. 골반이 작은 여성도 아기를 낳을 수 있게 되었고, 머리가 크거나 자궁 내 위치가 좋지 않은 아기도 세상 빛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제왕절개가 널리 보급되면서 신생아의 체중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강력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그래도 지구는 돈다
2019.11.29
시레데우스 눈치우스 책의 일부.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1610년에 출간한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는 유럽 지식인 사회에 신선한 충격을 던졌다. 그러나 망원경을 이용한 갈릴레이의 놀라운 발견을 모두가 곧이곧대로 받아들인 것은 아니었다. 일단 눈과 물체 사이에 뭔가가 가로막고 있다는 사실 자 ... ...
IBS는 과연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훼방꾼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김두철 전 IBS원장 특별기고] 상징과 실제를 혼동하는 오류를 보며 김두철 IBS 원장 《김우재 캐나다 오타와대 교수는 최근 동아사이언스 연재 칼럼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에서 세 차례에 걸쳐 기초과학연구원(IBS) 탄생과 운영 과정에서 문제를 집중 조명했습니다. 김 교수는 IBS가 집단연구 만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