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이득"(으)로 총 3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20) 영아 살해와 모성애2017.11.17
- 만은 없습니다. 실질적인 면만 고려하면, 영아 살해는 여성의 생애 동안 최대의 번식적 이득을 얻기 위한 전략일 수 있습니다. 물론 그 과정은 참혹하지만 말이죠. 그래서 아이의 아버지로부터 지원이 중단되면, 자식을 포기하는 현상을 흔히 메데이아 효과라고 합니다. 자신의 아이를 죽이는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19) 나는 관대하다...한번은 배신을 용서해 줘야 하는 이유2017.11.05
- 은혜에 보답하거나 원수에게 복수할 수 있게 되었죠. 따라서 우리는 그 행동의 즉각적인 이득과 손해 외에도, 장기적인 상호 관계의 대차대조표를 이용해서 어떤 행동을 할 지 결정하게 됩니다. 협력과 배신의 전략은 점점 더 복잡하게 진행됩니다. 따라서 한번 보고 절대 안 볼 사람이라면, 사기치고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17) 공생, 기생 혹은 악의2017.10.15
- 결과를 잘못 계산하는 경우입니다. 상대만 무너뜨리고 자신은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이득의 가능성을 과다하게 계산하는 것이죠. 둘째 악의적 위협입니다. 악의적 행동을 몇 번 보이고 나면, 경쟁자들은 자신을 슬금슬금 피하게 됩니다. 굴복을 강요하는 것입니다. 악의는 자연의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16) 형제 간의 싸움, 그 영원한 갈등2017.10.07
- 노릇입니다. 비록 부모의 자원을 나눠 가져야 하는 단점은 있지만, 서로 협력하여 얻는 이득도 있으니 꾹 참고 넘어갑니다. 자꾸만 동생을 낳는 부모의 전략에 대항할 대안을 찾게 됩니다. 1996년 프랭크 설로웨이는 출생 순서에 따라 성격이 달라진다는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예를 들어 맏이는 ... ...
- AI 시대, 검색광고는 생존할 수 있을까?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7.09.18
- 판단할 수 있고, 검색광고 클릭을 높여 광고주와 이용자, 플랫폼 사업자 모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다. 네이버 이일구 리더 네이버 검색광고팀의 이일구 리더는 지난 15일 한국광고문화회관에서 개최된 ‘검색광고 탄생 20주년 기념 특별세미나’에서 “광고 이미지 품질을 검토하는데 인공지능이 ... ...
- 2017년 한반도, 전쟁불안증? 혹은 전쟁불감증?2017.09.16
- 정서는 두 가지, 즉 두려움(Fear)와 공황(Panic)입니다. 이러한 정서는 우리 선조의 삶에 큰 이득을 주었지만, 또한 인간을 불행하게 만들기도 했죠. 부스럭거리는 수풀 뒤에 어른거리는 얼룩 무늬는 과연 무엇일까요? 호랑이인지 고양이인지 금방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두려움과 공포를 느끼고 잽싸게 ... ...
- “빅스비, 카카오 주문하기에서 피자 한 판 시켜줘”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7.09.14
- 국내 대표 모바일 서비스와 콘텐츠를 빅스비로 이용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이득이다.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더 많아져야 빅스비 이용자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번 제휴는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의 동맹을 연상케 한다.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 각자의 플랫폼에서 상대의 AI ... ...
- 똑똑한 동물일수록 더 보호받아야 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8.29
- -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세계가 비슷하다. 하지만 동물복지는 (경제적으로도) 이득이다. 축산업의 경우에도 동물을 다루고 나를 때 잘 대해주면 면역력이 좋아져 병에 걸리지 않는다. 이런 점을 잘 어필해야 하지 않을까. 다행히 영국에서는 지난 30여 년 동안 인식이 많이 높아져서 반려동물을 ... ...
- 이해진이 네이버 총수일까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7.08.17
- 외부 회사의 지분 일부를 인수한 경우다. 이런 지배구조 때문에 총수 일가의 사적 이득을 위해 일감몰아주기를 할 수도, 할 이유도 없다. ‘갓뚜기’라 불리는 오뚜기의 함영준 회장조차 오뚜기라면에 일감을 몰아주고 17억원의 배당을 받는 한국 기업의 현실에서 네이버는 일종의 이단아와 같다.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⑬ 독심술이 없는 사람은?2017.08.05
- 협력과 경쟁을 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러한 협력적 (가끔은 배신하지만) 능력의 적응적 이득이 엄청났기 때문에 점점 더 복잡한 사회적 지능을 가지게 되었고, 뇌도 덩달아 커졌다는 것입니다(반대로 체계적 도구 사용 능력이 뇌 진화의 원동력이라는 주장, 즉 ‘기술적 뇌 가설’도 있습니다).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