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뉴스
"
인체
"(으)로 총 2,676건 검색되었습니다.
감각전달·피부재생 동시 가능한 인공피부
동아사이언스
l
2024.02.18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지난달 2일 게재됐다.
인체
이식형 촉각 기능 스마트 바이오닉 인공피부 구성 요소. KIST ... ...
흡연은 금연 후에도 몸에 흔적 남긴다…"면역반응에 큰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흡연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새로운 통찰과 수정할 수 있는 환경요인이 면역 반응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여준다"며 "이런 변수가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면 치료법과 백신 설계를 ... ...
홍합과 누에고치로 장기 출혈 막는다…새로운 지혈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지혈제를 개발했다는 설명이다. 연구를 주도한 차 교수는 “자연에서 유래하고
인체
내 분해가 가능한 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다기능 국소 접착지혈제의 우수한 지혈 성능을 확인했다”며 “실제로 환자 치료나 수술 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
방사선 유발 DNA 돌연변이 정체 밝혔다…"방사선 치료 안전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수, 장지현 서울대병원 교수는“이번 연구를 통해 방사선이
인체
DNA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확히 알 수 있는 도구를 가지게 된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지노믹스' 온라인판에 14일 게재됐다 ... ...
평생 반복되는 복통·설사…‘과민성장증후군’ 치료 유익균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선택에 있어서 남녀 성차를 고려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추후
인체
대상 임상시험 연구를 진행해 현대인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과민성장증후군을 해결할 실마리를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암 예방 저널’에 최근 게재됐다. (왼쪽부터) 김나영 ... ...
유전자 신호 따라 클러치 작동하는 스마트 나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나노로봇이 헬리콥터의 프로펠러처럼 회전한다. 자성을 가진 엔진을 사용했기 때문에
인체
외부에서 자력을 이용해 무선으로 로봇 제어가 가능하다.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회전력의 발생 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도 있다. 이렇게 구동하는 나노로봇은 세포와 결합해 생체 신호를 기계적으로 ... ...
명절 선물 단골 견과류의 '재발견'…장내미생물 촉진에도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4.02.09
담긴 식이섬유는 장내미생물의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내미생물은
인체
내 대사물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면역체계, 대사작용, 신경계 등 다양한 생리작용에 영향을 줘 '제2의 장기'라고도 불린다. 지난해 6월 ‘농림식품화학회보’에 게재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 ...
눈에 간세포 이식해 간 건강 손쉽게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신경을 공급받으면서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지방 섭취 등으로
인체
에 일어나는 변화를 각막에 이식된 간세포에서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는 설명이다. 노아 모루치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연구원 연구팀은 간세포의 작은 3D 배양체를 눈의 앞쪽에 이식해 간의 변화를 ... ...
임신하면 피부·근육까지 변화…분자 단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임신이 여성의 각 장기에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인체
의 생화학적 작용을 매개하고 조절하는 아미노산, 지질, 당 등 대사산물의 종합체인 ‘대사체’를 연구하는 일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임신한 여성의 혈액과 소변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뤄지고 있지만 ... ...
신호등 색 감지하는 모자...일상복이 컴퓨터가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했다. 두 섬유를 직조방식으로 결합해 스마트 섬유를 완성했다. 이 섬유로 만든 의복은
인체
의 움직임과 땀으로부터 에너지를 얻어 위치 추적 센서를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를 이끈 송현철 KIST 책임연구원은 “의류형 전자기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분야에 활용 가능하지만, 특히 소방관,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