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부
배우자
배필
파트너
동료
상대방
반려자
뉴스
"
짝
"(으)로 총 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나는 공부]“동아리 활동, 교실 밖으로 행진하라”
동아일보
l
2014.12.23
대부분 탐구실험 동아리를 하나쯤은 할 터. 하지만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에만 하는 ‘반
짝
’ 실험은 과학을 향한 호기심을 드러내기엔 역부족이다. 겨울방학을 이용해 장기 실험과제에 도전하자. 2014학년도 건국대 KU자기추천전형으로 생명자원식품공학과에 합격한 이수정 씨(20). 고2 방학 동안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① 숭실대학교]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으로 실용주의를 추구한다
과학동아
l
2014.11.25
PC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4학년 때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멘토와 지도교수가
짝
을 이뤄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나머지는 합숙훈련이다. 학생들의 신청을 받아 겨울방학에 기숙사에서 5주간 합숙을 하며프로그래밍을 집중적으로 배운다. 컴퓨터학부 시절 이때 프로젝트를 완성해 공모전에 ... ...
짝
찾아 400km 헤엄쳐 이동하는 ‘니모’
2014.09.17
디즈니/픽사 제공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에는 그물에 잡힌 새끼 ‘니모’를 찾기 위해 아빠 흰동가리가 먼 바다로 떠나며 겪는 모험이 소개된다. 그런데 실제로는 아빠가 아닌 새끼 흰동가리가 먼 바다로 떠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영국 엑스터대 해양생물학과 연구팀은 중동 지역 ... ...
“하루 만이라도 머리 좋아지게 해주세요”
2014.08.29
기억력이 높아지는 현상도 발견했다. 자극을 마친 뒤 얼굴 사진 20장과 특정 단어를
짝
지어 기억하는 테스트를 시행했더니 뇌 자극을 받은 사람들의 점수가 훨씬 높게 나타난 것이다. 기억력 향상 효과는 적어도 24시간 동안 유지됐다. 보스 교수는 “해마와 피질의 상호작용이 연상기억에 ... ...
쌍성 도는 행성 '중력렌즈'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7.04
배로 항성 주위를 0.8AU(1AU는 지구부터 태양까지의 거리)만큼 떨어져 돌고 있다. 이 항성과
짝
을 이룬 또 다른 항성까지의 거리는 15AU다. 한 교수는 “지구형 행성이 공전하고 있는 항성은 매우 어둡고 배출하는 에너지도 약하기 때문에 행성 표면 온도는 영하 213도로 무척 추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 ...
[표지로 읽는 과학] '박쥐의 노래' 들어보실래요?
과학동아
l
2014.06.22
특이한 소리를 낸다”고 발표했다. 이들 박쥐는 수컷 한 마리에 암컷 여러 마리가
짝
을 지어 가족을 이룬다. 따라서 수컷에게는 가족이 살 수 있는 영역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수컷의 경고음은 영역을 침범하는 적에게 보내는 경고인 셈이다. 하지만 박쥐가 태어나면서부터 경고음을 낼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우리는 주변 여성들의 젖가슴 크기가 제각각인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젖가슴 크기가
짝
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요소라면 이정도 편차가 가능한 일일까. 그리고 동아시아 남성들이 가슴이 작은 여성을 선호하다는 건 근거가 있는 얘기일까. 조사해보지는 않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유방확대술이 ... ...
1000도에서 전기 흐르는 이 물질 뭐지?
과학동아
l
2014.05.12
온도를 1020도로 낮추자 대칭적으로 움직이던 원자들이 비대칭적으로 움직이는 원자들과
짝
을 이루면서 전기적 성질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연구에 활용한 다강체는 육각기둥 모양의 망간 산화물인데 연구진은 비슷한 모양의 다강체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도 ... ...
[채널A] 쥐 뇌 지도 완성, 다음은 인간…뇌 신경망 연구
채널A
l
2014.04.17
그려지면 자폐증이나 정신 분열증도 고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영혜 기잡니다. [리포트]
짝
을 찾는 수컷 쥐입니다. 암컷을 만나자 흥분한 모습을 보입니다. 암컷의 얼굴을 확인할 때 생쥐의 시신경을 담당하는 뇌세포에서 신호가 전달됩니다. 미국 앨런뇌과학연구소 오승욱 박사팀은 7500만 개에 ... ...
뽑아볼까, ‘우주 미스터리’ TOP 3
과학동아
l
2014.04.04
지금 우리는 물질로만 이뤄진 세상에 살고 있다. 그야말로 미스터리다. 반물질은
짝
이 되는 물질과 질량, 크기 등 성질은 다 똑같고 전기적 성질만 다르다. 전자는 음(-)의 전하이지만 반(反)전자는 양(+)의 전하다. 그래서 양전자라고도 부른다. 전자만 존재하고 양전자가 사라진 이유는 뭘까.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