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후속"(으)로 총 1,5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정 KAIST 교수…로봇 피부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1.31
- 김 교수가 개발한 기술은 2022년 6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게재됐고 후속연구는 로봇 분야 학술회의(IEEE RA-L)에서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됐다. 김 교수는 “대면적 로봇 피부를 개발해 인간과 로봇이 같은 공간에서 공존할 수 있는 필수 기술을 마련하고 인간의 피부 감각과 촉각 ... ...
- 올해부터 이공계 대학원생에 '대통령과학장학금'…120명 내외 선발동아사이언스 l2024.01.30
- 2022년 12월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한 ‘2022년 미래과학자와의 대화’의 후속 조치다. 성장 잠재력이 있는 우수 이공계 대학원생을 발굴해 세계 최고 연구인력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대통령 명의의 국가장학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그간 이공계 대학원생 지원이 연구개발(R&D) 과제 참여 ... ...
- 우주항공청 출범 앞두고 美 NASA와 협력 논의동아사이언스 l2024.01.29
- 2023년 4월 과기정통부와 NASA가 맺은 '한미 우주탐사・우주과학 협력 공동성명서’의 후속조치 격이다. 향후 구체적인 연구협력 아이템을 발굴하고 논의를 계속할 예정이다 . 한국이 강점을 지닌 모빌리티, 이차전지, 5G, 자율주행, 원자력 기술 등을 우주탐사에 적용, 월면차, 달 통신망 구축 등의 ... ...
- '양자 얽힘'으로 파장대 넘나들며 빛의 상태 관측동아사이언스 l2024.01.25
- 복합 간섭계 실험장치의 펌프 레이저와 함께 광정렬을 수행하는 연구팀. 표준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양자얽힘 현상을 이용해 적외선 영역의 변화를 가시 ... 측정 한계를 돌파한 사례"라며 "센서의 측정시간을 단축하고 분해능을 높여 실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 ...
- 국제협력으로 전고체 전지 상용화 '한발'…KIST-LLNL, 고전압 환경 고체 전해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1.25
- 공동 연구팀은 향후 소재의 합성 공정, 전극·전지 제조 공정 최적화에 필요한 후속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류 책임연구원은 "화재 위험성이 없는 고에너지밀도 차세대 리튬 전고체 전지의 상용화가 앞당겨질 것"이라고 밝혔다. ... ...
- 美 FDA, '기적의 항암제' CAR-T 치료제에 이차성 암 경고동아사이언스 l2024.01.24
- CAR-T세포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T세포 악성종양 발병 사례를 확인하고 조사한 것에 대한 후속 조치다. 19건의 혈액암 발생이 보고됐고 이 중 일부에게선 CAR 양성 림프종이 확인됐다. 다만 FDA는 CAR-T 치료의 잠재적 위험보다 이점이 여전히 크다고 했다. 미국의 전문가들 또한 이번 조치가 CAR-T 세포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2024.01.24
- mRNA와 tRNA가 달라붙은 리보솜 구조를 밝혀 번역의 분자 메커니즘을 제시하는 등 후속 연구를 이어갔고 결국 놀러를 제치고 수상자가 됐다. 박테리아는 세포벽 구조에 따라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나뉜다. 그람양성균은 세포막(plasma membrane) 바깥에 두꺼운 세포벽(peptidoglycan)이 있는 단순한 ... ...
- KIST·동아ST, 염증성 장질환 핵산 치료제 개발 '맞손'동아사이언스 l2024.01.22
- 면역 환경을 빠르게 정상화할 수 있다. 양 기관은 밀크엑소좀 기술 상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2년간 공동 수행할 계획이다. 연구책임자인 양유수 KIST 책임연구원은 “최초의 경구 핵산 치료제 기술로 환자의 사용 편의성을 현격히 높일 수 있다”며 ”기술이전 및 링킹랩 사업을 통해 제품의 ... ...
- 알츠하이머 환자 뇌세포 죽이는 원인 새로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24.01.19
- 지연시키는 새로운 접근법이 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병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 모델에서 독성을 가진 sRNA가 세포 사멸에 기여하는 양상과 이를 막는 방법을 찾을 계획이다 ... ...
- 인류가 '본' 최초 블랙홀 M87…1년 뒤 고리 밝기 변화 포착동아사이언스 l2024.01.18
- 이론 및 M87 블랙홀의 존재를 다시 한번 검증했다고 밝혔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후속 연구를 통해 고리 구조의 밝기 변화를 분석해 블랙홀 주변 물질 유입 및 방출 과정을 규명하겠다고 말했다. 2018년 연구에는 기존 망원경 8대에 그린란드 망원경이 추가됐다. 올해부터는 천문연이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