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06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대인 유골서 자가 면역질환·당뇨 치료 단서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추정된다. 얌나야족의
DNA
에는 페스트 등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의
DNA
가 포함돼 있었다. 당시 얌나야족은 목축업을 하며 고기와 우유에 의존하는 생활을 했는데 가축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감염병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한 유전자 돌연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이 ... ...
여드름 치료하는 똑똑한 박테리아…합성생물학으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피지조절 세포가 효과적으로 사멸됐다. 연구팀은 "유전자를 교정하는 과정에서
DNA
가 세포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유전자 기능을 발현하게 하는 데 특히 주의를 기울였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만들어진 박테리아는 당장 사람의 여드름 치료에 사용되진 않는다. 쥐와 인간의 피부가 다른 만큼 ... ...
인류 조상 동아시아로 이주한 까닭은 '장맛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30만 년 전 처음으로 지구상에 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인류학계는 화석, 인공물,
DNA
등을 바탕으로 호모사피엔스가 약 30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진화했다고 추정한다. 호모사피엔스의 혈통은 이후 지구 전역으로 흩어져 현생인류까지 이르렀다는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12만 년~7만년 전 ... ...
난치 유전질환 유전자가위 치료 시대 열렸는데...국내선 임상 시도도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것이다. 유전자가위 치료제는 세포에서 유전질환의 원인이 되는 특정 유전자(
DNA
)를 잘라내 교정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기존 치료제로는 효과를 보기 어려운 난치성 유전질환 치료 돌파구로 주목받았다. 이론상으로 단 한 번의 치료로 장기간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 기술을 ... ...
[주말N수학] 반려견은 사람 나이로 몇 살일까
수학동아
l
2024.01.06
대상으로 연구했다. 연구팀은 생후 4주~16살 사이의 래브라도 리트리버 104마리의
DNA
메틸화 패턴을 분석해 후성유전학 시계를 만들고 이를 인간의 시계와 비교했다. 그러자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 완전 아기 때와 완전 노년에는 인간과 개의 노화 양상이 비슷했지만 중간에는 개의 시계가 훨씬 ... ...
모계 유전 미토콘드리아 유전질환 치료길 열리나…동물모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TALED 구성 단백질 중
DNA
변형을 매개하는 단백질이 더욱 정밀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게 개량한 TALED(V28R-TALED)를 개발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교정기술이 치료제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한 발짝 더 나아간 연구 성과를 낸 것이다. 조성익 ... ...
세포 내 노화 방지 단백질 발견…"노화·질병 치료 새 표적"
연합뉴스
l
2024.01.02
밝혀냈다. 세포 내의 특정 조건에서 활성화하는 유전자를 비교해 특정 단백질의
DNA
표적을 확인하는 염색질 면역침전 분석법 결과 HKDC1 유전자가 TFEB의 직접적인 표적으로 밝혀졌다. 또 HKDC1 유전자는 미토콘드리아와 리소좀이 스트레스를 받는 조건에서 더 많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그곳'의 털이 더 곱슬인 이유 찾는 과학자…"코팅 소재 개발할 것"
과학동아
l
2023.12.31
존재한다. 또 머리카락에 있는 해충 ‘이’는 침팬지에게만 존재한다. 따라서
DNA
의 유사성으로만 따지면 인간은 침팬지와 더 유사하지만 음모의 형태와 기생하는 사면발이를 봐서는 고릴라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지 않을까 추측해볼 수 있다. 신 교수는 “이것이 그나마 (음모에 대해) 과학적으로 ... ...
저산소 환경에서 '암세포 사멸' 유도하는 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27
단백질에 의한 히스톤 메틸화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비정상적인 유전자 발현이나
DNA
손상이 발생해 유전체가 불안정해지고 세포사멸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암과 같은 저산소 적응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분자 표적을 찾은 것”이라며 “향후 SETDB1을 ... ...
상온 초전도체 LK-99 논란…영국 과학자들이 꼽은 올해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3.12.25
비밀이 밝혀졌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연구팀은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DNA
를 분석해 이들이 25만년 전 유라시아 어딘가에서 호모사피엔스 계통으로 진화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앞서 학계에선 약 10만년 전 네안데르탈인이 아프리카로 이주했던 것으로 알려졌었다. ● 기록상 가장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