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자리잡고 있다 속도는 6Mhz에서 최고 20Mhz까지 다양하다스타트렉에 나오는 기술로 2360년
대
에 구현되는 실제적인 가상현실 시스템이다 이동(transporter)과 복사(replicator), 홀로그래픽 시스템이 결합된 기술이다 실제 또는 가상을 배경으로 프로그래밍된 공간에서 사람들이 활동한다 실제와 동일한 느낌과 ... ...
5. 춤을 위한 테크노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테크노 디제잉의 꽃 ‘스크래치’로 즉흥 작곡까지 할 수 있는 이 로봇은 인간 디제이를
대
체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후보로 떠올랐다. 디제잉(DJing) | 선곡한 음악에 샘플링, 스크래치, 믹싱을 가미해 기존 곡을 새로운 느낌으로 가공하는 행위.▼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사랑하면 춤을 춰라 나는 ... ...
한국 과학자들이 칭기즈칸 일족의 비밀 벗긴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칭기즈칸(1162~1227). 몽골 내 여러 부족의
대
통합을 이룬 후 북중국과 티벳지역, 러시아, 그리고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급속히 세력을 확
대
해나간 막강한 정복자로 알려진 인물이다. 칭 ... 칭기즈칸 왕족을 넘어 칭기즈칸 자신의 무덤이 한국 과학의 힘으로 발굴될 날을 기
대
해본다 ... ...
3. 공포증의 물귀신 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고장 나는 바람에 꼼짝 없이 혼자 갇혀 있었다. 문을 아무리 두드려도 밖에선
대
답이 없고, 금방이라도 떨어져 내릴 것만 같았다. 갇혀있던 시간이 고작 10분이었는데 꼭 10시간처럼 느껴졌다. 그 뒤 상민이는 엘리베이터 타는 걸 두려워하게 됐다. 집이 아파트 17층인데도 엘리베이터를 타지 못하고 ... ...
즉석필름카메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말이다. 셔터버튼만 누르고 불과 2~3분 안에 사진을 쥘 수 있다는 점은 디지털시
대
에도 즉석카메라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다. 순수한 화학반응만을 이용해 즉석에서 사진 현상과 인화를 끝내는 즉석카메라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즉석카메라의 작동 원리각층의 색 염료는 필름에서 ... ...
칩 위에 세운 생물 실험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곧 상용화가 가능하리라 본다”고 밝혔다.박 교수팀의 실험실에는 개인 책상이 없다.
대
신 학생끼리 모여 공부하고 서로 토론할 수 있는 공간이 실험실 옆에 따로 마련돼 있다. 박 교수는 “학제학부의 목표인 융합 연구를 위해 실험실을 늘 열어 놓고 누구나 함께 실험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놓고 이와 관련도가 얼마나 되는지 구해 얼굴 전체 이미지를 인식하는 방법이 있다. 연세
대
전기전자공학부 이상윤 교수는 “두 가지 방법을 함께 사용할 경우 서로 보완되는 면이 있어 인식능력이 좋아진다”고 말했다.생체인식기술 중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은 홍채다. 홍채인식은 거의 99% ... ...
쿼티 vs 드보락 자판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했다. 옛 기계에 관성이 붙어버린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작동법이 필요한 새 기계는
대
개 외면당한다. 게다가 드보락 자판이 억지로 관성에서 벗어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만큼 큰 이점을 가진 것도 아니었다.경영자 입장에서도 드보락 자판을 산다는 것은 이 자판을 다루기 위해 타자수들을 새로 ... ...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많은 변화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 세는 인류의 조상이 나타난 시기이기도 하다
대
기의 압력(기압)을 재는 단위 기호는 mb ${10}^{6}$다인(1dyn은 1g·cm/sec²)을 단위면적 1㎠으로 나눈 값, 즉 ${10}^{6 ... ...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내린 사람은 아마 5년 뒤에도
대
형 광학망원경을 세우는 일이 불요불급할것이다. “도
대
체 왜 큰 망원경이 필요해요? 별을 보면 밥이 나와요, 빵이 나와요?”라고 묻는 사람이 더 이상 없기를 바란다.다른 나라들은 돈이 남아돌아서 경쟁적으로 커다란 망원경을 세우겠는가? 국민의 일부가 굶어 죽는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