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박사가 포함됐다. 이들은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단백질 생성에 관심을 갖던 시기에
반대
로 단백질이 어떻게 소멸되는지를 연구한 선구자들이다.DNA는 RNA를, RNA는 단백질을 만든다. 아미노산 여러개가 모여 이뤄진 단백질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세포 내 대부분의 기능을 담당한다.인간이 언젠가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먹는 두부나 도토리묵을 연상하면 된다. 그런데 여기에 쓰이는 수화젤은 일반상식과는
반대
되는 특이한 성질을 보인다. 즉 저온에서는 물 같은 액체이다가 온도가 올라가면 젤로 엉기는 것이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설탕처럼 물에 작 녹는 분자는 친수성이라고 부르는 반면 지방산처럼 물에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제대정맥은 태반에서 태아의 몸으로 들어오는 혈관이다. 즉 태아는 일반적인 경우와
반대
로 정맥으로 깨끗한 피가 들어와 몸을 순환한 다음 동맥으로 나간다. 태어난 후 곧바로 정맥과 동맥이 일반 성인처럼 바뀐다.태자의 제대동맥과 제대정맥을 체외순환 회로에 연결한다. 몸안의 혈액을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배우자 선택 경향 좌우이처럼 뇌의 차이는 남성과 여성의 행동 차이를 유도한다.
반대
로 진화생물학적으로 오랫동안 축적된 행동양식의 차이 또한 뇌의 차이를 가속화시킨다. 남성은 옛날부터 사냥꾼으로서의 행동에 익숙하다. 남성은 사냥을 위해 주변 환경에 적응하고 관찰하는 능력, 즉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크다. 이런 블랙홀에 가까이 다가간 천체가 느끼는 중력의 세기는 블랙홀을 향한 부분과
반대
쪽의 차이가 크다. 그 결과 마치 종이가 찢어지듯 일부가 떨어져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데 이때 수백만℃까지 온도가 올라가며 X선을 방출한다. 관측 결과 전형적인 은하의 경우 이런 현상이 1만년에 1번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최근 전북 부안군에서 중단되며 표류하는 등 원전은 환경 단체와 지역 주민의
반대
에 시달리고 있다. 원전센터는 선정에서 준공까지 4년 정도 걸리는데 기존 시설은 2008년에는 포화되기 시작한다. 또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2호기 등 새 원전 건설도 처음 계획보다 1년 이상 미뤄지고 있다.석유 ... ...
현대인에게 필요한 것은 운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변하면 운동에 대한 관점도 많이 바뀔 것이다. 운동에 대한 갑자기 달아오른 사랑은
반대
로 급속하게 식을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사례를 보자.1970년대까지만 해도 미국의 사회적인 주요 관심사는 섹스였다. 그러나 에이즈와 같은 무서운 역병의 출현은 자유분방한 섹스로부터 관심을 ... ...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남쪽에서는 바람이 불어나간다. 이처럼 특정 지역에서 공기가 퍼져나가는 상태를 발산,
반대
로 공기가 모여드는 상태를 수렴이라고 한다.상층에 발산이 생기면 지상에는 상대적으로 수렴이 일어난다. 제트류 시작 부분 바로 아래 지상이 강릉이니 이곳에는 자연스럽게 수렴이 생겼다. 결국 제트류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돕는 단백질을 분리하는데 성공했다. 혈관이 만들어지는 것을 촉진하는 물질이 있으니
반대
로 방해하는 물질도 있을 것으로 생각한 포크만 박사는 연구를 계속한 끝에 1996년과 1997년 혈관신생 억제 단백질인 ‘안지오스타틴’ 과 ‘엔도스타틴’ 을 각각 발견했다.한편 시칠리아 태생의 산부인과 ...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운전자는 쉽게 상황을 낙관한다. 그래서 허용된 최대 속도보다 더 빨리 달린다는 것.
반대
로 전방이 막힐 것 같아 보이면 도로 상황을 쉽게 비관해 속도를 늦춘다. 운전자가 도로 상황을 나름대로 판단하고 예측해서 속도를 조절한다는 것이다.연구팀은 이처럼 운전자가 도로 상황을 판단할 때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