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음파로 지문 감식하는 휴대용 기기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정도에 따라 색을 다르게 보여주는데, 물체 표면과 손가락이 닿은 뒤 잔여물이 남은 곳의
차이
를 영상으로 나타낸다. 단층촬영을 하듯 지문의 단면을 찍어 3차원으로 재구성하는 셈이다.테이프로 지문을 찍어낼 땐 표면에 있는 먼지까지 묻어나와 지문이 오염될 수 있지만, 휴대용 지문 단층촬영기를 ... ...
모유와 찰떡궁합인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이에 비해 대립형질 GG형 FADS2 유전자를 가진 아이들은 모유를 먹었어도 지능지수에 별
차이
가 없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전체 어린이의 10%에 불과했다. 모피트 박사는 “특정 유전자가 모유 수유 조건에서 지능을 높이는 것은 지능지수가 선천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 모두의 영향을 받는다는 ... ...
미국 휘청거리게 한 캘리포니아 산불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면적이 넓기 때문에 소화약재를 넓게 퍼뜨리는 기구를 사용해 불을 진화한다는 것이
차이
점이다. 구 박사는 올해 인산나트륨을 원료로 한 소화약재를 개발했다. 이 액체 약재는 열을 받으면 자동으로 기체로 변한다. 그리고 이 기체는 불에 산소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구 박사는 ... ...
12월이 빨리 지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따르면 시간은 뇌가 만든다. 뇌에 있는 시계로 외부와 내부 변화를 감지해 그
차이
를 시간으로 인식한다는 뜻.뇌엔 두 종류의 시계가 있다. 24시간을 주기로 생리작용을 조절하는 ‘하루주기성 시계’(Circadian clock)와 사건이 얼마나 지속하는가를 재는 ‘시간간격 시계’(interval timer)가 그것이다 ... ...
파리, 모기 요건 몰랐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힘들지. 그래서 구멍이 숭숭 뚫린 파리채로 잡으면 뚫린 구멍으로 공기가 빠져나가 압력
차이
를 느끼기 어려워 잘 잡힌단다.또 모기가 싫어하는 소리를 내는 제품이나 휴대폰과 컴퓨터에서 이런 소리를 만드는 프로그램도 있어. 이미 짝짓기를 한 암모기는 수모기의 날개 소리를 싫어한다는 걸 ... ...
PART2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꿈은 이뤄지나?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배아줄기세포가 수정란에서 유래한 정상 배아줄기세포와 비슷하더라도 세세한 부분에서
차이
가 날 경우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인위적 조작에 따른 불완전성의 가능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확보되지 않는 한 이 세포주를 임상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또 성공 효율이 높더라도 ... ...
1. 하드디스크 소형화 일등공신 거대자기저항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전류가 감소한다. 만약 자성물질이 없는 부분을 지나면 전류가 다시 증가한다. 이 전류
차이
를 ‘1’과 ‘0’으로 읽어내는 원리다.MR 하드디스크 헤드 기술덕분에 1cm2 당 1Mb였던 하드디스크의 메모리 용량은 10Mb로 증가했다. 하지만 MR하드디스크의 ‘용량확장’은 GMR 하드디스크의 ‘용량폭발’의 ... ...
PART1 투표는 이성보다 감정이 우세?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발표했다. ‘자유주의자와 보수주의자의 정치적 성향은 갈등상황에 반응하는 방식
차이
에서 빚어졌다’는 가정 아래 실험참가자들의 뇌파를 분석한 것.일단 참가자 43명을 정치적 성향에 따라 극좌파부터 극우파까지 10단계로 나눈 뒤 컴퓨터 모니터 앞에 앉혔다. 두 개의 신호 가운데 하나가 화면에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있다. 줄기세포의 miRNA 발현 패턴을 비교하면 줄기세포 사이에 분화능과 증식력이
차이
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줄기세포은행 있어야줄기세포의 분화를 연구하고 있는 고려대 생명공학부 김종훈 교수도 지난 2년 간 비슷한 고초를 겪었다. 그 역시 외국 연구자들로부터 “한국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시간을 쓰려면 서울을 통과하는 동경 127°의 표준시를 써야 하지만, 다른 나라와 30분
차이
가 나는 표준시를 쓰기는 불편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는다.위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일이 과학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조선시대에는 중국과의 관계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았다. 반대로 현재는 우리의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