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위
활동
행실
실행
동작
소행
태도
d라이브러리
"
행동
"(으)로 총 3,33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수 있었을까. 또 기억과 직접 연결된 생명현상인 인간의 본능, 의식과
행동
(판단에 따른
행동
의 자제)등의 조절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이처럼 많은 의문들이 아직 미궁에 빠져 있다. 최근 이런 복잡한 생명현상들을 규명하는 신경생물학(neurobiology)이 분자생물학의 한 유망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보여주고 '플리퍼'라는 이름으로 영화나 TV에 출연하는 놈들이다. 이들은 늘 무리를 지어
행동
하는데 동료가 상처를 입으면 재빨리 바다 위에 뜨게 한다. 바다위에서 마음껏 숨을 쉬도록 도와주는 것이다.이 돌고래가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한 이야기가 많이 전해진다. 일부 국가에서는 이 돌고래의 ... ...
동물한테 배우는 비만치료법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장기(臟器)를 감싸고 있는 지방은 아드레날린이나 부신피질 호르몬같이 즉각적인
행동
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호르몬에 민감하다."복부의 지방은 신속한 에너지원의 저장고인 것 같다. 즉 인류가 수렵 채집생활을 하던 시기에 달리고, 싸우고, 먹이를 찾을 때 짧은 시간 내에 사용할 수 있는 ...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양쪽 부모로부터 하나씩 물려 받는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 인자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행동
하고 고스란히 자손에게 전이된다고 제안했다.멘델이 지적한 형질결정인자는 현재 유전자로 불리고 있다. 그가 유전법칙을 발표할 당시에는 아무도 이 엄청난 발견에 관심을 가져주지 않았다. 그러나 그후 ... ...
하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그러나 눈만은 흙탕물 또는 자신의 배설물로 더러워진 물속에서 뜨고 있다. 이런
행동
으로 외적을 놓치지 않고 감시하는 것인지···생태와 습성 또한 특이하다. 하마는 현재 아프리카의 여러 곳에서 살고 있으나 옛날에는 유럽에서도 서식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 가끔 화석이 ... ...
원형춤·8자춤·엉덩이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다시 소화시키기 위해서다.② 흔적을 없애 적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함이다.③ 본능적인
행동
이며 별다른 의미가 없다.3. 시골의 여름밤에 빛을 내면서 날아다니는 반딧벌레를 볼 수 있다. 이들이 내는 반딧불은 어떤 작용을 할까?① 먹이가 될 작은벌레를 유인한다.② 수놈과 암놈이 서로 신호를 ... ...
도도새 같은 죽음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옷차림에다 어기적대는 걸음걸이를 쉽게 연상할 수 있는 뚱보새로 그려져있다. 그러한
행동
은 바로 그 새의 이름과 맞아 떨어지고 왜 멸종되고 말았는지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그러나 키치너씨는 그 그림이 사실과 다르다고 생각한다. 어쩌면 그 그림은 잡혀서 운동도 못한채 너무 많은 먹이만 ... ...
페르시아만 사태로 개점휴업에 들어간 KISR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이라크의 쿠웨이트점령은 쿠웨이트 국립연구기관인 KISR의 기능을 완전히 마비시켜 버렸다. 최근 자동차로 사우디의 사막을 통과, 쿠웨이트탈출에 성공한 KISR의 ... 그러나 연구활동이 더 이상 진행될 수 없게 되었다. 연구원들이 국외로 탈출했거나
행동
에 크게 제약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 ...
「두뇌 기능 지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관심을 끄는 분야는 양전자발광단층촬영과 핵자기공명촬영을 사용해, 인식하고 말하고
행동
하는 장면을 슬라이드로 표현해주는 장치.이제까지 뇌의 구조와 관련된 지식은 대부분 동물실험을 통해 얻어졌다. 그러나 사람의 뇌는 동물보다는 훨씬 복잡하기 때문에 동물실험결과를 그대로 ... ...
인간의 체취를 진정제로 쓴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나는 좌석을 골라 앉았다고 보고했다. 신생아들이 어머니를 인지하는 과정에서도 냄새와
행동
의 상관관계는 뚜렷하다. 엄마젖을 먹고 자라는 생후 1주일의 신생아는 시각과 청각이 완전하지 않음에도 기저귀를 갈아주는 사람이 엄마인지 아닌지를 구별할 수 있다.그러나 우유를 먹고 자라는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