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삽입
기입
추가
간행
발행
뉴스
"
게재
"(으)로 총 3,72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사처럼 정확하게 혈압 재는 인공지능(AI) 나왔다
2016.11.08
GIB 제공 혈압은 사람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 중 하나다.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전문의 수준으로 정확하게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장준혁 한 ...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IEEE 산업정보 트랜잭션’ 10월 15일자에
게재
됐다.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로 경유 만든다
2016.11.08
이재성 울산과학기술원 교수팀이 개발한 촉매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수소와 반응시켜 얻은 디젤(경유). 촉매가 값싼 구리와 철로 이뤄져 있고 경유를 만들 때 별도의 전처리 ... 이 연구 결과는 촉매 분야 국제학술지 ‘어플라이드 커탤러시스 B: 환경’ 2017년 3월호에
게재
될 예정이다 ... ...
과학자 성공 가능성 예측하는 ‘역량 평가’ 지수 나왔다
2016.11.06
운에 따른 성공 예측 지수인 ‘Q모델’을 만들었다고 과학저널 사이언스 4일자에
게재
했다. 연구팀은 물리학자 2887명이 20년 동안 발표한 논문을 분석해 Q모델을 개발했다. 지금까지 과학자 개인의 능력을 평가할 때는 인용지수(IF)나 에이치인덱스(h-index) 같은 지수를 주로 이용했다. 이 지수에 ... ...
당뇨병 환자 콕 집어내는 초고성능 가스센서 나왔다
2016.11.02
김형준 연세대 교수팀이 이황화 텅스텐과 은 나노선을 결합해 만든 초고성능 가스센서. - 한국연구재단 제공 환자의 호흡을 측정하는 것만으로 혈액검사 없이 당뇨병 진단을 ...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ACS 나노(ACS Nano)’ 9월 24일자에
게재
됐다. ... ...
특수안경 없이 스마트폰으로 3D 영상 본다
2016.11.02
LG전자 제공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같은 모바일 기기에도 안경 없이 3D 영상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이신두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2차 ...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광학회의 국제학술지 ‘옵틱스 익스프레스‘ 1일자에
게재
됐다. ... ...
사람처럼 입체적으로 보는 카메라 나왔다
2016.11.02
KAIST 연구팀이 개발한 홀로그램 카메라 - KAIST 제공 사람의 눈처럼 원근감과 입체감을 감지할 수 있는 홀로그래픽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박용근 KAIST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 ... 찍을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0월 28일자에
게재
됐다. ... ...
수술 없이 암 치료하는 ‘나노로봇’ 등장
2016.11.01
초음파로 나노로봇을 원격제어해 암세포를 죽일 수 있다. - 성균관대 제공 초소형 나노로봇으로 수술 없이 암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동물실험까지 ...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10월 12일자 ‘나노레터스(NANO letters)’에
게재
됐다. ... ...
값비싼 OLED 가격 ‘뚝’ 떨어진다
2016.10.31
주병권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전극의 구조 - 주병권 교수 제공 고화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쓰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가격을 큰 폭으로 낮출 수 있는 기술을 ...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10월 5일자에
게재
됐다. ... ...
파란 잎 식물 ‘베고니아 파보니나’의 비밀 풀렸다
2016.10.26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라는 사실을 밝혀 과학저널 ‘네이처 플랜트’ 10월 24일자에
게재
했다. 베고니아 파보니나는 열대 우림 아래, 빛이 거의 없는 지역에서도 잘 살아남는다. 식물이 광합성 과정으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것을 감안하면 베고니아 파보니나는 특이한 식물인 셈이다. 연구팀은 ... ...
사망까지 이르는 ‘뇌 염증’ 원인 밝혔다
2016.10.25
연세대 의대 연구진이 부신백질이영양증 환자의 세포로 만든 유도만능줄기(iPS)세포의 사진. 뇌 염증이 일어난 부위(녹색)에서 '25-수산화콜레스테롤(25-HC·파란색)'이 다 ...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25일자에
게재
됐다.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