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뉴스
"
김
"(으)로 총 3,55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첫 日 이화학연구소(RIKEN) 종신 주임연구원
2015.04.10
설립 100주년을 맞는 2017년까지 연구소 분위기를 쇄신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김
박사는 “이화학연구소에는 한 분야를 오랫동안 연구한 세계적인 석학과 신진 연구자들이 조화롭게 섞여 있다”면서 “한국의 젊은 과학자들이 이화학연구소의 문을 적극적으로 두드리길 기대한다”고 ... ...
[미래를 듣는다 5] “보건의료분야 교류, 통일 위한 중추역할 할 것”
2015.04.08
통일을 위한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연이 끝난 뒤
김
위원장과 추가로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대상이 통일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급변하는 국제 정세와 사회문화적 변화 속에서 ... ...
“통합수능 봐야만 창의적 인재 되나?”
2015.04.07
지식은 부족해져 이런 학생들을 학생들을 재교육시킬 여력까지는 없다 것이다.
김
교수는 “수능 제도를 개선할 때 대학의 현실을 고려한 최소한의 통제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선종 예당고 교장은 “학생부 전형과 같은 현행 입시제도의 장점은 확대 적용돼야 한다”며 ... ...
[미래를 듣는다 4] “독일 통일, 우리 실정에 맞춰 적용해야”
2015.04.06
“독일의 통일을 우리 실정에 맞춰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연이 끝난 뒤
김
전 총리와 만나 간단히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독일 통일의 원동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아무리 봐도 독일 통일은 사람의 노력이 아니라 하늘의 뜻, 신의 섭리가 아닐까 ... ...
100년째 혁명 진행 중인 초전도 기술
2015.04.05
바쳐 매년 평균 5편씩의 논문을 해외 유수 학술지에 게재한 한국 초전도 연구의 석학
김
연구원이 초전도 연구의 역사를 총정리한 대중 과학교양서를 출간했다. KAIST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입사한 저자의 연구 주제는 원래 초전도가 아니었다. 박사학위 과정에서 반도체 소재인 ... ...
세계 최고 효율 열전(熱電) 소재 개발
2015.04.03
전도도는 높이고 열 전도도는 최대한 낮춰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김
연구위원은 “열전 소재가 개발된 뒤 70년간 병목 상태였던 효율 문제를 처음 해결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면서 “이번에 개발한 제작 공정은 대량 생산에도 유리한 만큼 상용화에서는 미국, 일본 등 ... ...
[SW가 미래다 1] “소프트웨어는 창의성 위한 훌륭한 도구”
2015.04.03
중고교에서 정보 과목 이수율이 평균 20% 수준임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다.
김
교수는 “고등학교 시절 스스로 프로그래밍하는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 되고 대학 진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고교 시절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으면 문제 해결 ... ...
과학기술인공제회, 우리은행과 나눔문화 확산 위한 협약 체결
2015.04.02
기부되어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하는데 쓰이게 된다. 과학기술인공제회
김
이사장은 이 자리에서 “공제회는 따뜻한 투자, 즐거운 복지에 가치를 두고 기관을 운영하여 좋은 성과를 얻고 있는 만큼 기부를 통하여 우리 사회가 따뜻한 사회로 발전되어 나가도록 행복나눔 확산캠페인에 동참하게 ... ...
“3세대 로봇 개발로 미래시장 선점해야”
2015.03.31
로봇제품은 아직 없다”면서 “이는 원천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김
소장은 “10년이 넘는 로봇 연구개발의 역사 동안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많이 나왔지만 이런 아이디어를 사업화할 기업이 없는 것도 큰 문제”라면서 “한국의 로봇시장은 지금 지쳐있다”고 말했다. 그는 ... ...
그래핀 넣은 플라스틱 제조 레시피 나왔다
2015.03.30
분석한 결과 기존 방식으로 만든 것에 비해 훨씬 고르게 분산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
연구원은 “‘그래핀 플라스틱’은 열을 전달하고 전자파를 차단하는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며 “향후 자동차 내장재나 발광다이오드(LED) 부품 개발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