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8,98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로, 우주로!” 새 우주복 공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3
공개했어요. 이번에 디자인이 결정된 새 우주복은 2014년까지 우주복과 필요한 시스템이
개발
될 예정이에요. 그러면 2020년 달과 국제우주정거장을 여행하는 프로그램에서 우주인들을 보호하게 되지요. 따라서 새 우주복에는 중력이 약 한 달 표면에서 6개월 동안 충분히 걷거나, 우주선이 이륙하거나 ... ...
[생물물리]DNA 광섬유
과학동아
l
200812
스웨덴 캘머스대 보 알빈손 박사팀이 DNA 가닥을 광섬유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
했다고 전했다. DNA 광섬유는 지름이 불과 수 nm(나노미터, 1nm=10-9m)에 불과하며 길이도 20nm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광 컴퓨터나 인공 광합성 기술에 유용하다.연구팀은 DNA에 ‘크로모포어’ 분자를 이용해 DNA 광섬유를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12
등 외국에 무인관측기지를 설치하고 해외도입이 여의치 않은 우주감시기술을 상당 부분
개발
해 지구접근천체를 탐지하고 궤도를 추적하고 있다.하지만 지구접근천체 연구는 국제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하나의 국가가 맡아 감시하기에는 태양계가 너무 넓다. 세계 도처에서 획득한 관측 자료를 ... ...
컴퓨터에 한강이 들어왔네
과학동아
l
200812
연구로 옮겨가고 있다. 서 교수는 이 분야에서도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 애초 램스
개발
목표로 삼았던 2011년까지 3년이나 남았지만 서 교수는 마음이 급하다. 현재 베타버전인 램스를 가능한 빨리 상용 버전으로 바꾸고 싶다. 해석 능력은 95% 완성됐지만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쉽게 쓸 수 있도록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12
재직 중이다. 뇌영상 기술과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해 정신질환의 진단과 치료기술을
개발
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고, 대표 저서로 ‘뇌영상과 정신의 이해’가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손해인 줄 알면서 주식 파는 이유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 ...
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
과학동아
l
200812
입사해 현장에서 실습하고 있다. 김 교수는 “미국에 있는 동문기업이자 소프트웨어
개발
사인 ‘이미지솔루션’에서 학기 중에 인턴으로 활동할 수 있다”며 “2006년 2학기부터 매학기 1~3명씩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고등학생 발길도 끊이지 않고 있다. 그는 “매년 국내뿐 아니라 중국에서 ... ...
고릴라 고환이 사람보다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812
해석한다. 그렇다면 인간 주위의 다양한 동물들은 어떻게 세상을 지각할까. 신약을
개발
하다가 사이언스 커뮤니케이터로 변신한 저자는 동물들의 감각세계를 흥미롭게 펼쳐보인다. 사람의 후각상피 면적이 10원짜리 동전만한데 비해 주름진 개의 후각상피를 펼치면 식탁만큼 넓기 때문에 냄새를 잘 ... ...
지적 재산의 보호와 공유
과학동아
l
200812
널리 퍼져야 한다. 특허는 각 회사의 기술
개발
을 막고 특허를 받은 회사는 기술을
개발
시키려는 노력을 이전보다 덜하게 된다. 서로 간의 경쟁을 통해 좋은 기술과 저렴한 상품이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을 모두 막아버리는 것이다. ⑤대학에서 특허에 관련된 과목을 만들어 유능한 인재를 만든다고는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12
보여 아쉽다”며 너스레를 떨었다. 지금 당장 우주에서 쓸 수 있는 고성능 메모리를
개발
한 우리나라가 한없이 자랑스러워지는 순간이었다.편집자 주이번 호를 끝으로 ‘이소연 박사의 생생 우주 실험보고서’는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애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이소연 선임연구원 >KAIST ... ...
[생명과학]흰개미 생존의 비밀은 이중 공생
과학동아
l
200812
건축물을 갉아 먹는 골칫덩어리인 반면, 폐목재에서 바이오연료를 얻는 기술을
개발
하는데 열쇠를 쥐고 있는 곤충 흰개미. 이 원시적인 생명체는 어떻게 나무만 먹고도 살 수 있을까.그 비밀이 흰개미 장에 기생하는 원생생물에 다시 기생하는 박테리아의 역할에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