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재
등록
서류
문서
등기
각서
기입
d라이브러리
"
기록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08
성과를 토대로 '신비의 집' '공주와 마술사' 등의 컴퓨터 게임을 만들어 공전의 히트를
기록
하면서 게임왕국 시에라온라인사 등 본격적인 해커 사업체를 만들어간다. MIT의 1세대 해커들IBM의 일괄처리식 컴퓨터와는 달리 대화식 방식을 채택한 TX-0가 설치되어 있던 MIT의 26호 빌딩에는 밤마다 몇명의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08
것은 생물이 종류별로 설계되고 만들어졌다는 창조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화석의
기록
에서 점진적으로 진화되는 모습을 찾아 볼 수 없었기 때문에 하버드대학의 굴드교수는 단속평형설을 주장했다. 이 이론은 1940년 버클리대학의 골드슈미트(Goldschmidt) 교수가 '진화의 물질적 근거'(The Material Basis of ... ...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08
최근에 발표됐다.'별이 없는 성운'이라는 묘사와 함께 메시에가 1764년 7월12일에 관측
기록
한 M27은 북천(北天)에서 가장 밝은 행성상 성운이다. 그뒤 로스경이 대형망원경을 통해 이 천체를 관찰하고 역도선수의 아령에 비유했다. 이후로 '아령성운'으로 유명해졌다. 아령성운은 우리나라 국악기 장구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08
엄청난 백금괴(당시 시가로 24조원 상당)가 있었던 사실과 일본의 러일전쟁 해전사
기록
에 대마도 부근 해역에서의 첫 해전 이후, 유독 돈스코이호는 싸울 생각을 하지 않고 피해다녔다는 점으로 어느 정도 입증되고 있다.또 다른 설로는 돈스코이호가 바로 회계함이었으며, 월남의 캄란만에 기항시 ... ...
「운동선수의 발」 무좀
과학동아
l
199108
국어대사전에서 보면 무좀은 '손, 발가락 사이나 발바닥에 물이 잡히는 부스럼'이라고
기록
돼 있다. 무좀이란 병명은 물좀에서 유래됐다. 여기서 좀이란 좀벌레, 즉 옷 종이 등 풀기있는 물건 갉아 먹는 벌레를 뜻하며, 물은 이때 피부에는 물집이 잡히고 진물이 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08
율법으로 그렇게 정해 놓았을 것이다. 감자농사는 망쳤지만…일반적으로 세계사에
기록
될만한 사건의 이면에는 '먹고 사는 문제'가 숨겨져 있다. 영국 독일 등지에서 봉건영주제가 발달한 것도 그들의 식량사정과 결코 무관한 일이 아니다. 그곳은 토양이 척박하고 단위 수확량이 적었기 때문에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07
따뜻한 해수로 덮이게 되는 현상인데 1982년 말에 나타난 엘 니뇨는 사상 최대의 것으로
기록
되고 있다. 학자들은 엘 치촌 분화로 성층권에 유입된 화산성 에어로졸이 적도 태평양 지역의 바람을 서풍계열로 바꾸는데 기여함으로써 엘니뇨의 강화에 일조한 것이 아닌가 생각했다.화산분출 후의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07
진화가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그리고 점진적으로 이뤄져왔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화석
기록
은 새로운 종이 갑작스럽게 출현한 후 그들의 특징이 거의 변화하지 않고 생존하는 기간이 있음을 보여 준다. 이에 따라 단속평형설이 제안됐다. 이 이론은 종의 분화가 돌연변이와 자연선택에 의해 ... ...
화산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07
東國與地勝覧)'에 '1002년과 1007년 제주도에 검은 연기가 치솟ㅇ아 항해를 할 수 없었다'는
기록
이 발견되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는 1597년 1668년 등에 백두산일대지역이 화산 재로 되덮였다고 쓰고 있다.환태평양지역 '불의 고리'의 일부인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지역도 화산발생이 ... ...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07
따르면 이 천체는 1613년 1월에 목성과 아주 가까이에 위치했었다. 그런데 갈릴레이의
기록
에 따르면, 그는 1612년 12월27일과 1613년 1월28일에 목성 근처에서 하나의 천체를 관측했는데 이 천체가 부근 별들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탐지했다고 돼있다. 이 천체가 해왕성일 가능성이 크다.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