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표
의도
취지
표적
대상
동기
비젼
d라이브러리
"
목적
"(으)로 총 3,704건 검색되었습니다.
2. PC에서 미디를 구현하려면 책상위의 작은 오케스트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따라 천차만별이다. 이중에서 단지 특이하고 비싼 것만을 고를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목적
에 맞게 그리고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기종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 사운드모듈은 각 제조회사에 따라 많이 다르기 때문에 음악 파일들의 호환성이 완벽하지 못하다. 따라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종을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강습회의
목적
과 내용이 우리와는 너무도 동떨어진 것을 알고 놀란 적이 있다. 강습회의
목적
은 자격이나 호봉에 반영되는 등의 어떤 현실적인 이익을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고, 순전히 교사 자신의 수학적 소양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여비도 강습비도 각자가 부담하는 게 원칙이었다.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미국의 분자생물학 연구실에서는 항시 사용되고있다. 이 유전자재조합기술이 상업적인
목적
을 띄고 인슐린등의 유용한 단백질의 대량생산에 이용될때 유전공학에는 단순한 유전자조작기술이 아닌 공학으로서의 의미가 부여된다.둘째로, 1970년대 후기에 영국의 프레데릭 생거와 미국의 W. 길버트가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 지역 당사국간의 공동연구를 추진하기로 합의한 데서 비롯됐다.동해와 황해개발을
목적
으로 한 이 학술회의에 87년과 88년에는 한국 중국 일본 미국만이 참여했으나 89년 소련 나홋카시(市) 회의부터는 소련과 함께 북한대표도 참석하기 시작했다.허박사는 "북한관계자들의 남한에 대한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사진은 일반적으로 감광도가 빠른 필름을 많이 사용하게 되지만, 찍고자 하는 대상과
목적
에 따라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왜냐하면 감광도가 큰 필름의 사진을 현상해보면 사진의 표면이 인물사진과 같이 깨끗하지 못하고 거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필름으로 노출을 장시간 요하는 별의 ... ...
2. 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대포의 탄도계산을
목적
으로 설계된 계산기였기 때문에 전쟁이 끝난후 컴퓨터는 다른
목적
으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주로 미국정부의 회계 및 세금계산에 사용됐는데 민간기업에서의 이용이 활발해짐에 따라 컴퓨터의 시장규모는 날로 확대되었다. 과학기술의 발달은 컴퓨터의 성능을 ... ...
일본의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액체헬륨(엄청나게 비싸고 액체로 관리하기 힘든)만이 가능케 해주었던 바로 이러한
목적
에 궁극적으로는 이용될 수 있다.그러나 그러한 "고온" 초전도성이 존재하고 그것이 유용하게 되었을 때 기술적 혁명까지도 일으킬 수 있지만 아직까지는 그 유용성이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 ...
침묵의 바다를 깨우는 로봇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않고 강해 심해의 압력에도 찌그러지지 않는다.현재는 수천대의 로봇이 상업적인
목적
으로 전세계의 바다에서 활약하고 있지만 초기의 로봇은 거의 전적으로 군대에서만 사용됐다. 1960년대 초반 해군 주도하에 최초로 개발된 심해용 로봇은 TV카메라 정지사진 카메라 음향시스템 집게등을 갖추고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그간의 북한연구성과를 들어보도록 하죠.북한, 식물지 펴내마훈카-제가 학술조사의
목적
으로 북한 땅을 밟은 것은 지난 1972년이었습니다. 2차대전 이후 양국간 최초의 생물학 교류였던 셈인데 사실 헝가리는 19세기부터 우리와 생물지리학적으로 관련이 깊은 동유럽 소아시아 지역의 생태를 연구해 ... ...
「통신개방」시험대에 오른 국내 DB산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본격 온라인DB시대를 열었다.현재 국내 DB제작기관은 1백40여군데지만 대부분 자체이용을
목적
으로 하고 있어 상용DB를 제작하는 곳은 47개소다. 이용가능한 DB수는 국내제작 DB가 68개, 해외DB가 51개로 파악되며 DB이용자의 수는 개인과 기관을 합쳐 3만~5만 정도로 추산된다. 1988년 국내 DB서비스관련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