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비
활동사진
시네마
필름
영상
영화관
스크린
d라이브러리
"
영화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속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고전인 동의보감에도 빈혈을 치료하는데 쇳가루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만화
영화
의 주인공인 뽀빠이가 시금치를 먹고 힘을 되찾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것은 철이 풍부한 시금치를 먹도록 유도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철의 주요 공급원은 육류(肉類) 계란 등이다.■구리/굴에 많이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서식하고 있다. 이들이 바로 수족관에서 멋진 연기를 보여주고 '플리퍼'라는 이름으로
영화
나 TV에 출연하는 놈들이다. 이들은 늘 무리를 지어 행동하는데 동료가 상처를 입으면 재빨리 바다 위에 뜨게 한다. 바다위에서 마음껏 숨을 쉬도록 도와주는 것이다.이 돌고래가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한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수 없었다.그런데 포레족은 우리가 두려워하는 식인부족이다. 식인종이라고 하면 우선
영화
에서 흔히 본, 무고한 백인탐험대를 잡아먹는 토인들을 떠올릴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식인종이 어떠한 종족인가를 먼저 정확히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들은 결코 사람을 자신들의 식량으로 여기지 ... ...
정보통신의 새 시대를 선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인화지에 서서히 맺혀지는 상을 보았을 때 느꼈던 희열감은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영화
필름 편집을 한다고 어렵게 학교시설 이용 허락을 얻어내어 밤새도록 8㎜밖에 되지 않는 필름을 조심스레 만져가며 머리맞대고 고심한 적도 있다. 그러다가 바라본 서로의 얼굴에서 우리들의 무한한 발전을 ... ...
PC게임과 비디오게임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온 가족이 함께 모여 즐길 수 있는 트럼프 놀이를 시뮬레이션화한 홀북오브게임 △007
영화
를 느끼게 하는 첩보물 스타일의 아이스맨시리즈 등이 있다.한편 시뮬레이션에서는 비행기 시뮬레이션을 게임화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V 3.0과 마이크로 프로즈사의 F-19, 스텔라 파이터가 ... ...
우연히 발생한 사고에 해결사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흉악한 사고에 대비해 미국 경찰은 새로운 시스템 '앤드로스 로봇'을 개발했다.공상과학
영화
에나 나옴직한 이 로봇은 커다란 확성기로 인질을 잡고 있는 범인과 대화를 할 수 있을 뿐더러 다관절 팔을 가지고 폭탄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다. 특별히 설계된 폭파실로 폭탄을 운반해 처리한다 ... ...
베를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열차가 이 역을 통과한다. 역에서 다시 남쪽으로 2분 정도 걸으면 매년 2월 베를린
영화
제가 열리는 키노 팔라스트(Kino Palast)가 보인다.극장 앞길 바로 건너편에 관광명소인 오이로파센터(Europa Center)가 있다. 이 건물 맨 위층에 있는 카페에 앉으면 서베를린 전경이 한눈에 보인다. 오이로파센터 ... ...
생태계의 사고(史庫),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관찰하고 토론하는 행사도 있다. 이 밖에 대개의 자연사박물관이 소형전시상자 책
영화
필름 등을 대여하고 있으며 자연사를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과 성인들의 모임을 클럽으로 운영하여 박물관시설과 자료를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이용케 한다. 오늘날 자연사박물관은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오염과 ... ...
첨단 기술과 예술의 접목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표현방식으로 성숙하기까지에는 여러 아티스트들의 노력이 숨어있다. 노먼 맥라런은
영화
필름에 직접 채색을 하거나 바늘로 긁어서 애니메이션 작품을 만들었다. 오스카 피싱거는 직접 그림을 그리면서 촬영해가는 기법을 이용해 애니메이션 작품을 만든 사람이다. 움직이는 영상은 에디슨이 ... ...
불꽃놀이의 과학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흰빛을 내는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이것은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
에서 곧잘 볼 수 있다. 사진을 찍을 때 '펑' 터뜨리는 보조기구(요즘의 플래시 같은) 속에 있는 화합물이 그것이다. 이 화합물의 용도는 지금도 매우 광범위하다. 폭죽경연장이나 록 음악 공연장에서 '불티나게'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