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상태가 ‘고압’과 관련있을 거라 추측했다. 김 교수는 이 주제에 매진해 5년 만에 박사학
위
를 받았고, 관련된 주제로 연구를 이어갔다.고독한 항해 뒤에 남은 첫 발자국‘영하 150℃에서도 얼지 않는 물’ 역시 그런 연구의 연장선에서 만들었다. 2009년, 김 교수는 2000기압에서 물을 영하 190℃까지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부분을 보면 시각 피질 중 V1영역이 자극을 받아요. 자극을 받은 V1의 신경세포는 다른 부
위
인 V2영역에 자극을 전달하지요. V2의 신경세포는 두 꼭짓점 사이에 선이 있는지 판단해요.실제로는 선이 없지만 꼭짓점을 표시한 그림이 어떻게 생겼는지에 따라 선이 있는 것처럼 보일 확률이 달라지지요. ... ...
[지식] 아이스크림 닮은 벤 다이어그램이 있다고?!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수학과 피터 햄버그 교수는 예술가인 아내 에디 헤프와 함께 대칭 벤 다이어그램을 찾기
위
해 노력했다. 그 결과, 2002년 집합이 11개인 경우의 대칭 벤 다이어그램을 찾아냈다. 두 사람이 발견한 대칭 벤 다이어그램은 집합의 영역이 무려 211=2048개여서 영역의 개수를 세기가 어렵다. 2048개의 영역에 ... ...
[지식] 세기의 매치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두는 법을 고안해냈다. 바로 피셔960이라는 체스 게임이다. 첫 번째 줄에 있는 8개 말의
위
치를 임의로 바꿔 놓고 시작하는 것이다. 단 두 가지 조건이 있다. 두 개의 비숍 중 하나는 어두운 칸, 하나는 밝은 칸에 두고 킹을 기준으로 룩은 양쪽에 하나씩만 있어야 한다. 이 때 만들어질 수 있는 경우의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수 있습니다.정전에서 만난 세 가지 관문을 모두 넘었나요? 현존하는 어진을 모두 만나기
위
해 단 두 관문이 남았습니다. 다음에는 어떤 어진을 만나게 될지 기대해 주세요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충전 시간을 1시간 이내로 줄이고, 효율은 지금보다 2배 높은 배터리를 개발하기
위
해 계속해서 연구하고 있답니다. # 오우~! 스마트 모빌리티가 이렇게 많았다니 놀라워! 게다가 모두 과학 원리가 담겨 있잖아. 그런데 말야, 친구들이 어른이 됐을 때는 또 어떤 새로운 탈것들이 나와 있을까? 정말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한국에는 아직 이런 작가들이 없다. 스
위
스의 로잔아르브뤼미술관과 오스트리아의 구깅미술관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설립된 아르 브뤼 전문 미술관인 벗이미술관은 용인정신병원 환자들 중에서 잠재력을 보이는 이들을 발굴해 작품 활동을 지원할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수사관들의 경험으로만 전해 내려오던 사실을 실험으로 증명하고 수치화시키기
위
해 현 검시관은 실험을 시도했다. 아주 기초적인 부분도 아무런 자료가 없어 “맨땅에 헤딩하듯” 하나씩 배워갔다.“익사 실험을 해야 되는데, 돼지를 산 채로 물에 빠뜨릴 순 없잖아요. 고민하다가 호스로 폐에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등장한 백악기의 새들은 모두 몸집이 작았다. 이들은 물가에서 잠수를 하거나 나무
위
에서 살며 열매나 씨앗을 먹었다. 반면 대형 익룡들은 해변이나 내륙을 어슬렁거리며 작은 동물을 잡아먹었다. 몸집도 다르고 생활 방식도 달랐기 때문에 이 둘은 경쟁할 필요가 없었다. 백악기 때 새와 대형 ... ...
[수학뉴스] 초콜릿 분수에 수학이?!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분수에서 초콜릿이 움직이는 원리를 수학적으로 밝혀냈습니다. 초콜릿 분수는 아래에서
위
로 올라와 가장 높은 점에서 바깥으로 흘러내립니다. 이 때 일직선으로 뚝 떨어지지 않고 안쪽으로 말려서 흘러내립니다.타운센드는 점성을 가진 흐르는 물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나비에-스토크스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