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방법을 연구 중입니다.완전 자동화된 팩트 체크 기술이 위험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우리가 사실이 라고 말하는 것은 여러 종류의 관련 증거에 입각해 가장 합리적으로 믿을 만한 내용이라는 ‘판단 사실’에 가까운 데, 인공지능은 판단 사실을 마치 실재 사실인 ... ...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없나버틀러: 첫 해인 2015년에는 데이터를 많이 얻지 못했고, 2016년에는 그보다 10배 이상의 데이터를 얻었다. 그 데이터를 지금 분석하는 중이다.지금까지는 특별히 새로운 발견은 없지만 힉스 입자에 대한 좋은 신호를 얻었다. 힉스는 입자를 질량으로 연결시키는데, 힉스 장(field)이 입자들에게 ... ...
- [Issue] 개나리와 벚꽃이 동시에… 봄꽃이 미쳤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연구원은 “과거 개화시기 데이터와 기온 자료를 분석해보면 온난화에 따른 이상기온 현상이 봄꽃 개화시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최근 한반도의 기후변화 양상을 보면 초봄 기온은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는 반면 늦봄의 기온은 급격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 ...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포함됐고, 조반류 공룡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을 중간형의 공룡을 고려해 최소 사촌 이상의 먼 친척으로 분류했다. 현재까지도 엉덩이뼈를 바탕으로 하는 실리 교수의 구분법이 이용되고 있다.수각류 공룡은 조반류와 형제일까그런데 최근 이 구도에 균열이 생겼다.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사기에 넘어가는 사람은 없습니다. 손님이 여기 온 건 순전히 우연의 일치예요. 아주 이상하지도 않은 그냥 평범한 사건이지요.그 정미나 손님은 예언을 하신 게 아니라 우리에게 목표를 주셨습니다. 신을 창조하고 지배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것이야말로 우주에 대한 우리의 임무라고요. ... ...
- [공룡은 왜?] 크기는 작아도 부화 기간은 길다?! 공룡의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알 속의 새끼는 그 구멍을 통해 호흡을 해요. 특히 공룡 알은 다른 알보다 구멍이 15배 이상 많아요. 공룡이 살던 시대의 대기에는 지금보다 이산화탄소 양이 5배 더 많았거든요. 그래서 알 속에 살던 새끼 공룡들은 한꺼번에 더 많은 산소를 들이마셔야 했고, 이 때문에 구멍이 많은 거랍니다.또 공룡 ... ...
- Part 6. 미래를 꿈꾸는 우주 도시 설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대체하고, 스포츠와 문화 생활을 할 수 있는 시설들도 빠짐없이 넣었죠. 그렇게 1만 명 이상이 살 수 있도록 만들었답니다. 저희가 한국에 살고 있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생각이지 않을까요? 하하~.Q인공 위성 파편과 부딪히면 어떡하죠?장재훈 사람의 몸은 상처가 나면 피가 나요. 얼른 굳어서 나쁜 ... ...
- [DJ CHO의 롤링수톤] 데이브 브루벡의 ‘테이크 파이브’ 새로운 리듬의 창시자수학동아 l2017년 05호
- 9/8박자와 4/4박자가 두 마디씩 교대로 세 번나타납니다. 한 곡에서 박자가 여러 번 바뀌면 이상할 것 같다고요? 예상과 다르게 변박이 전혀 어색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뤄지니 이것이 브루벡의 음악이 높이 평가받는 이유입니다. 변화된 리듬으로 늘 새롭게다시 ‘테이크 파이브’로 돌아옵시다. ... ...
- [포커스 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거의 완벽하게 갖추고 있었다.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을 만들 수 있는 tRNA를 20개 이상 가지고 있었고, tRNA를 합성하는 핵심효소도 19개나 됐다. 이태권 교수는 “보통의 바이러스는 이런 유전자를 고작 예닐곱 개 가지고 있다”며 “새로운 바이러스는 지금까지 밝혀진 그 어떤 바이러스보다 ... ...
-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2030년에는 현재보다 폴리에스테르의 사용량이 두 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됐다(위 그래프).맥과이어 박사는 “해양 미세섬유를 줄이기 위해서는 합성 섬유로 된 옷의 구입을 자제해야 한다”며 “소비자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미세섬유를 방출하지 않는 섬유나 세탁기를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