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굿바이 M16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아말라이트가 1950년대에 개발한 AR-10과 AR-15가 M16의 기본이 되는 총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총기가 대량으로 시장에 풀리면서 총기 가격이 폭락했다. 총기 시장에 사업성이 없다고 판단한 아말라이트는 콜트에 AR시리즈의 판권을 넘겼다. 1962년 미 공군이 기지 방어용으로 AR-15 8500정을 처음 시험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때, 의료진 가운데 한국인 의사도 있었다. 바로 우상현 대구 W병원장이다. 한국에 돌아온
이후
지금까지 국내의 팔 이식술을 개척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8월 12일, 그의 병원에서 이야기를 들어봤다.팔 이식술에 관심 갖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1997년 네팔에 의료 봉사를 갔다가 두 손목이 없는 청년을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레버의 연구도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들의 연구가 빛을 발한 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의 일이었다.왜 하필 접시 모양일까?안테나는 성능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그중에서 잰스키가 만들고 싶었던 안테나는 접시 모양의 안테나다. 왜 하필 접시 모양일까? 접시 모양 안테나는 ‘포물면 안테나’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했던 윌슨산 천문대 직원, 밀턴 휴메이슨이다. 휴메이슨은 14살 때 학교를 그만두고
이후
정식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 미국 로스앤젤레114스 윌슨산 정상에 천문대가 새로 생길 때 건축자재를 나르는 노새를 부리기 위해 고용됐다. 나중에 천문대의 청소부가 됐는데, 어깨 너머로 배운 천문관측 기술이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이름을 붙여줬다. 모사사우루스란 학명이 태어나는 순간이었다. 최초로 발견된
이후
58년 만의 일이었다.머리보다 더 큰 먹이도 한입에 꿀꺽!모사사우루스는 길쭉한 주둥이와 고깔 모양의 이빨을 가졌다. 때문에 외형이 악어 같기도 하다. 또 지느러미로 변한 네 다리 때문에 수장룡이나 어룡을 ... ...
[생활] 수학으로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네이든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엄마보다 아빠와 가까웠다. 아빠가 네이든과 차를 타고 가다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난
이후
네이든은 엄마에게서 더 멀어진 채 수학에만 몰두했다. 엄마는 아무리 노력해도 새우튀김을 소수인 7개에 맞춰 사오지 못하면 똑똑하지 않다는 핀잔을 들어야 했다.엄마는 네이든이 수학에 집중하는 것을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다양한 움직임을 상상하도록 했어요. 그리고 이때 나오는 신호를 컴퓨터에 입력했지요.
이후
환자의 뇌와 컴퓨터, 로봇팔을 연결했어요. 환자가 팔을 올린다는 생각을 하면 컴퓨터가 미리 입력해 놓은 신호와 비교해 로봇팔에게 명령을 전달하지요. 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이는 거예요. 탁자에 ... ...
수백 년 도자기 묵은때 화학으로 벗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의해 도자기 속에 스며들었던 작용제와 오염물이 습포 겔 안으로 빨려 올라옵니다.
이후
표면의 습포만 제거하면 오염물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습니다. 도자기와 오염물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습포제가 필요합니다. 함 연구사는 국립문화재연구소의 복원기술연구실 ... ...
쉬운 일을 어렵게 하는 매력, ‘골드버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시간 안에 임무를 성공해야 했다. 4회를 맞는 올해 과제는 ‘공간을 확장하라’이며 빅뱅
이후
우주의 팽창을 묘사해야 한다. 8월부터 예선 접수를 시작한다(159쪽 참조).‘쉬운 일을 어렵게, 간단한 일을 복잡하게.’ 골드버그장치가 내세우는 이런 원칙은 효율과 목적에만 몰두하는 요즘 세태를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시토키닌을 배합해 세포의 전형성능을 최초로 유도했다. 식물에서 전형성능이 발견된
이후
식물학자들은 메커니즘을 연구하기보다는 이것을 활용하는 데 집중했다. 예를 들어 난초는 정상적인 생식을 통해서는 일 년에 씨앗 하나 얻기 힘들다. 그러나 식물의 전형성능을 이용해 대량으로 난초를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