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1. 달에 물이 있다면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이를 실현하려면 수만가지 난관에 부딪칠 것이다.5.달기지 건설 가능성은달기지 건설은
인류
가 오랫동안 간직해온 꿈이다. 달은 지구에서 가까울 뿐 아니라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우주여행을 하는 최적의 전진기지로 손꼽아 왔다. 달 중력이 약하기 때문에 우주선을 ... ...
중세) 영원히 멈추지 않는 꿈의 기관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않은 채 지치지 않고 끊임없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영구기관이 존재한다면 어떨까.
인류
의 생존을 위협하는 에너지 고갈 문제가 무난히 해결될 것이다. 물론 현대 물리 법칙에 따라 에너지는 창조되거나 소멸될 수 없고(열역학 제1법칙), 에너지가 다른 형태로 전환될 때마다 일부 에너지가 ... ...
성도착의 이모저모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죽이는 경우도 있다.동물애(zoophilia)는 동물을 성행위의 대상으로 삼는 변태성욕이다.
인류
가 목축사회를 거쳐오는 과정에서 비롯된 가장 역사가 긴 성도착증인데, 주로 소, 양, 개 따위가 대상이 된다.동물과 성교하는 수간이 가장 많지만 때로는 동물에게 페니스를 빨게 하거나 동물의 생식기를 ... ...
정보 전도사들이 주장하는 디지털사회의 신화들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정보화는
인류
의 미래를 책임지는 21세기의 복음인가. 제반 사회 요소의 디지털화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정보화 구호 뒤에 감추어진 진짜 모습을 살펴보려는 시도가 뒤늦게 진행되고 있다. 정보화사회의 신화가 가진 허구의 현실을 진단한다. 엘리트주의에서 평등주의로뉴미디어가 ... ...
이별의 씨앗이 된 현미경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나라에서 기념비를 세우는 등 그를 기리는 행사가 잇따랐다.코흐의 업적 가운데에서도
인류
역사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은 1882년에 결핵균을 발견하고 그것이 결핵이라는 질병의 원인라는 사실을 증명한 일이다. 오랫동안 많은 학자들이 결핵에 대해 연구했지만 결핵균의 발견에서부터 그 균이 ... ...
유인원 보노보의 여성천하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받고 있는 첫번째 이유이다.
인류
의 진화과정을 남성 중심으로 설명하는 관점에서 볼 때,
인류
의 가장 가까운 친척의 하나가 여성이 중심 역할을 하는 사회생활을 영위하고 있다는 사실은 선뜻 받아들이기 어려운 예외이기 때문이다.보노보 사회가 관심을 끄는 두번째 이유는 보노보가 사람과 ... ...
자석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섬에서 철조각을 끌어 당기는 특이한 돌을 발견한데서 유래한다.자석이 처음으로
인류
문화에 기여한 것은 나침반이다. 항해하는 선원들이 태양 빛이 흐릴 때나, 밤에 배의 방위를 알기 위해 자석과 바늘을 사용했다. 중국인들은 천연자석의 나침반을 기원전 4세기부터 사용했다.자석을 사용했다는 ... ...
디제라티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무한히 나누어질 수 있다. 당연히 디지털 정보의 상품화는 절대 허용할 수 없는 일이다."
인류
는 구텐베르그 이후 정보를 책이라는 상품으로 만들기 시작했다. 거대한 장치를 통해 책이 만들어지고 이들은 다른 상품들처럼 거래됐다. 이 때문에 우리는 정보란 상품이며, 재산이며 사물이라고 생각한다 ... ...
Ⅰ 생명체 곰삭이는 자연의 분해자: 버섯은 곰팡이 일종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몰고가는 존재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잘만 활용하면 자원 부족이나 불치병처럼
인류
가 풀어야 할 난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훌륭한 단서를 제공한다 ... ...
전염병 실체 밝힌 세균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감염되어 죽고 말았다. 코흐는 그 프랑스 사람의 빈소를 찾아가 비록 경쟁자이지만
인류
의 안녕과 학문을 위해 목숨을 바친 용사의 명복을 비는 꽃다발을 바쳤다.베를린에 돌아온 코흐는 알렉산드리아에서 채취해 온 가검물을 현미경으로 면밀히 관찰해 마침내 콜레라균을 발견했다. 그리고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