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4년 놓치지 말아야할 우주쇼는?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토성이 달 뒤로 숨는 현상. 토성과 달이 일직선에 놓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9월 28일 정오에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지며, 약 한 시간 뒤인 오후 1시 07분 다시 나온다. 천체망원경을 이용하면 관측 가능하다. 10월 8일에는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이 일어난다. 우리나라를 ... ...
- 비트코인도 털린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환전소를 추적했는데, 총 33 종류의 외화(달러, 엔 등)로 바꿔주는 곳이다. 40개 중 9개가 해커 등에게 보안 관련 위협을 받았다. 18곳은 연구 기간 중에 공식적으로 폐업했다. 또 다른 13곳은 아무런 공지 없이 갑자기 문을 닫았다. 연구팀이 결과를 발표한 시점에 남아있는 환전소는 4곳뿐이었다. 폐업한 ... ...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인도 발사체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망갈리안호는 올해, 즉 2014년 9월에 화성에 도착한다.일본은 유인달탐사선과 과학기지 건설을 최종 목표로 두고 있다. 2017년에 착륙선 셀레네(SELENE)2호, 2020년에 착륙선 셀레네X호를 보낼 계획이다. 유인달탐사선을 언제 보낼지는 ...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풀어쓴 논문이 주로 실린다(물론 그래도 어렵지만 다른 학술지보다는 한결 낫다). 2013년 9월 사이언스에 논문을 발표한 이지웅 성균관대 기초과학연구소 연구원은 “연구 내용은 우리 생활 속 의류와 관련된 것으로 공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 사이언스에 실린 요인 중 하나”라고 ... ...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박사팀이 개발한 촉각마우스에는 네 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먼저 마우스 표면에 배열된 9개의 핀은 마우스 커서가 가리키는 표면과 같은 모양으로 배열됩니다. 예를 들어, 모래밭 위를 마우스 커서가 가로지르면 핀이 빠르게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모래 알갱이의 거친 표면을 만들어내는 것이지요. ... ...
- [김민형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자의 여행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디시 여사는 30년 넘게 이곳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20세기 수학인물상을 잘 알고 있다. 8~9년 전, 여름 산술기하학회 기간 중에 그녀가 나를 마을 중심에 있는 기념품 가게까지 차로 데려다 준 적이 있었다. 그녀가 데려다 주는 내내 부모, 자식, 날씨, 동네의 시냇물 등 얘기가 끊이지 않았다. 그러며 ...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물질을 투입해 일시적으로 겨울잠과 같은 상태(가동면)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2013년 9월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원래 겨울잠을 자지 않는 쥐를 인공적으로 겨울잠에 빠뜨릴 수 있었던 이유는, 쥐에게 잠자고 있는 겨울잠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튜폰 교수는 “겨울잠 능력을 에어컨이라고 ...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영화 ‘아바타’의 주인공은 지구에서 판도라 행성으로 가는 우주선 안에서 무려 5년 9개월 22일이나 잠들어 있었다.동면의 핵심은 ‘부르르 떨며 깨는 것’1파트에서 본 것처럼 인간을 다른 동물처럼 겨울잠 상태로 빠뜨리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그런데 초점은 오랫동안 재우는 것만이 아니다. ... ...
- ‘우주 최초의 빛’이 틀렸다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플랑크는 전체 우주에서 날아오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9개)의 전파를 관측해 우주배경복사를 측정했는데, 유독 217GHz 대역의 자료만 이상했다. 연구팀이 이 대역을 제거한 뒤에 다시 계산해 보니, 기존 데이터와 비슷해졌다. 이 연구 결과는 12월 10일 미국 텍사스주 ...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더 가까워진다. 땅 속에 묻은 송전선 바로 위에서 자기장을 측정한 결과 지표면에서는 16.9mG, 사람 배꼽 높이인 1.2m에서는 8mG로 나타난 사례도 있다. 765kV 송전탑 바로 밑에서 측정한 자기장 세기와 비슷하다. 최 소장은 “도로 밑에 주로 설치하는 지중화 송전선이 주거지 밑으로 지나가면 더 위험할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