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301건 검색되었습니다.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측정한 인류의 두개골 가운데 가장 길다. 또 다른 두개골인 ‘쉬창 2’는 뼈가 부족해
뇌
용량을 계산할 수 없는 상태이지만 적어도 네안데르탈인 수준은 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이렇게 머리가 큰 사람들은 누구인가. 두개골 모양을 보면 먼저 네안데르탈인처럼 눈 위의 뼈가 툭 튀어 나온 게 ... ...
꿈을 꾸게 하는 ‘렘(REM) 수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3.13
환자들은 렘 수면 감소 등 수면 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은 만큼,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뇌
질환과 수면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2월 28일자에 실렸다. ... ...
‘킹콩’을 유전공학으로 만들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10
위해 머리를 아래로 내릴 때 머리에 지나치게 피가 흐르는 것을 막아 높은 혈압으로부터
뇌
를 지켜준다. 허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선임연구원은 “신체 말단부 크기를 줄여 몸 전체를 비교적 둥근 형태로 다듬어야 한다”며 “근육 효율이나 팔다리 비율도 새롭게 고민해야 ... ...
“오빠 나 살쪘어?” 공격 막아줄 ‘건강한 달콤함’ 선물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3.10
제공 이달 14일은 화이트데이다. 달콤함은 ‘사랑의 묘약’이다.
뇌
의 쾌락중추를 자극해 사랑과 행복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을 쏟아내게 한다. 하지만 양손 가득 사탕을 선물했다간 ‘오빠 나 살쪘어?’란 질문에 대답을 머뭇거리게 되는 난감한 상황에 처할 터. 사랑의 묘약, 건강하기까지 할 순 ... ...
올해 인공지능 연구비 47% 증액… 1639억 투자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8
먼저 지능의 원리를 풀기 위한 ‘
뇌
연구’ 지원을 확대한다.
뇌
의 구조, 활동원리 등
뇌
과학 연구에 618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507억 원에 비해 111억 원 늘어난 수치다. 또 기초학문 강화를 위해 산업수학 연구를 지원한다(15억 원).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정부주도 첨단기술 민간 ... ...
태아의 성별이 엄마 면역계에 영향 준다
과학동아
l
2017.03.08
GIB 제공 임신부가 뱃속 태아의 성별에 따라 자기 몸 상태가 다르다고 느끼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런데 이 가설이 사실로 밝혀졌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 미칠 수 있으므로 더 정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
뇌
, 행동 및 면역력’ 2월호에 게재됐다 ... ...
몸안에 이식해도 염증 염려 대폭 줄인 신경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06
장기간 신경치료 기술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수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
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사진) 팀은 스펀지 형태의 다공성 나노섬유 위에 은 나노입자를 프린트한 형태의 신경 전극 개발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는 권일근 경희대 치대 교수팀, 도선희 경희대 수의대 ... ...
‘공각기동대’ 사이보그 여전사, 현실에서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3
들려주는 방식이다. 정상돈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시냅스소자창의연구실장은 “
뇌
신호 해석 기술은 진보했지만, 로봇 팔이나 다리가 느낀 감각을 신경계로 되돌려 보내는 기술은 아직 걸음마 단계라 영화 속 주인공 같은 완전한 사이보그 개발 시점은 아직 점치기 어렵다”고 말했다. ● 기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기능)을 이루기 위해 다른 수단(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게 아주 흔한 일이라는 것이다.
뇌
세포를 다 합쳐봐야 100만 개도 채 되지 않는 곤충이지만 이를 어떻게든 활용해 얼굴 인식 능력을 획득한 것이다. 결국 진화계통수로 인지능력을 판단하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미국 중서부에 ... ...
[작심일주② 주(酒)빈에서 수(水)빈으로] 하루에 물 몇 잔 마셔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2.26
통해
뇌
의 활성화 정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이 물을 과도하게 섭취하는 경우
뇌
의 특정 부위가 활성화되며 물을 삼키려는 노력이 3배 더 든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파렐 교수는 “강박적인 스케쥴에 따라 물을 마시기보단 목이 마를 때 물을 마시는 게 좋다”고 말했다. ● 금주 2주차, 물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