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전시
대전광역시
집대성
전집
충전
회전
큰싸움
뉴스
"
대전
"(으)로 총 4,01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중 드론 길 찾아 주는 ‘수중 GPS’의 세계
2016.07.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 개발한 수중 드론 ‘와이샤크2(yShark2)’. 와이샤크2는 초음파를 사용하는 ‘수중 내비게이션’을 탑재하고 있어 물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제공 늘씬한 원통형 물체가 물속을 유유히 누빈다. 물체가 어 ... ...
페르미를 사랑하는 한 물리학자의 에세이
2016.07.10
그의 죽음으로까지 이어지는 글은 에세이로서의 담백한 맛이 진하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을 즉각 항복시켜, 우리나라가 독립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원자폭탄은 세계에서 일본인 다음으로 한국인을 가장 많이 죽인 무기다. 맨해튼 프로젝트에 관한 글은 수없이 읽었지만 이토록 씁쓸한 ... ...
수도권 방어 가능할까…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한 모든 것
2016.07.03
사드의 시험발사 장면. 요격할 미사일 궤도에 맞춰 공중에서 두 차례 몸체를 비튼 흔적이 보인다. - 위키미디어 제공 북한의 핵실험과 연이은 미사일 발사로 국내에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일명 ‘사드’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한편에선 실제 방어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으면서 중 ... ...
[사이언스 브리핑] 기초과학연구원(IBS) 본원, 7년 만에 첫 삽
2016.07.01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기공식에는 홍남기 미래부 1차관(왼쪽에서 8번째), 권선택
대전
광역시장(왼쪽에서 9번째)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IBS 본원은 2021년 완공될 예정이다 ... ...
스마트폰 버벅거림 사라진다
2016.07.01
pixabay 제공 스마트폰이 버벅대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정현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5G기가통신연구본부장은 SK텔레콤과 공동으로 서비스 지연 속도가 2ms(밀리초·1ms는 1000분의 1초) 안팎인 ‘5세대(5G) 저지연 이동통신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5G는 ... ...
따뜻하면 붙고 차가우면 떨어지는 ‘스마트 접착 패드’
2016.07.01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따뜻하면 붙고 차가우면 떨어지는 ‘스마트 접착 패드’가 개발됐다. 고현협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팀은 문어의 빨판에서 힌트를 얻어 외부 온도에 따라 붙었다 떨어지는 접착 패드를 제작했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문어는 빨판 속 근육으로 빨 ... ...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06.30
상상해서 그린 그림이다. - NASA/JPL-Caltech 제공 ● 이상한 천체가 속출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 끝나고 전파 관측 천문학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던 1950년대 말 또 다른 괴상한 천체가 등장한다. 이 천체는 겉보기엔 마치 밝은 별처럼 보였는데, 신기하게도 강력한 전파를 내뿜고 있었다. 당혹스러운 ... ...
“16년 만에 ‘3차원 그래핀’ 세계 첫 합성”
2016.06.30
존재하던 ‘3차원 그래핀’을 세계 최초로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28일
대전
유성구 대학로 KAIST에서 만난 유룡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연구단장(61·KAIST 화학과 특훈교수)은 어려운 수학 문제를 푼 학생처럼 들떠 있었다. 유 단장은 “그래핀은 높은 전기전도도 등 장점이 ... ...
상용화 까다롭던 ‘유기 태양전지’ 대량생산 길 열어
2016.06.29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유기 태양전지를 상용화 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 그린화학소재연구본부 이상규, 이종철 연구원은 박태호 포항공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대면적 유기 태양전지 소재를 새롭게 개발 ... ...
100배 더 빠른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 기술 나왔다
2016.06.29
pixabay 제공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제공 자동차 내부에서 각종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를 최대 100배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자율주행자동차 같은 미래형 자동차 상용화에 도움이 될 걸로 보인다. 최지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사진)팀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