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뉴스
"
점
"(으)로 총 12,57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아이 얼마나 클까...키 결정 유전자 확인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뼈의 길이와 모양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확인하는 연구에서 활용한 쥐의 연골조직. 위키미디어 제공 아이가 성장한 후 뼈의 길이와 모양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확인됐다. 주로 뼈 말단 연 ... 다만 "사람의 신장에 차이가 생기는 원인의 40% 정도만을 설명할 수 있다"며 한계
점
을 언급했다 ... ...
우주에 도전한 사람들은 어떤 말을 남겼을까
과학동아
l
2023.04.15
사람이라고 하길 좋아한다. 어떤 사람들은 고집 세다고 하겠지만. 어디까지나 당신 관
점
에 달렸다”란 말을 남겼다. ● 위대함에 도전하라. - NASA JPL, 2021 NASA 제공 태양계의 행성 중에서도 가장 지구와 비슷한 행성, 화성.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 행성이 저주를 내린다고 자조하곤 한다. 그간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도의 감각 지닌 문어 다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15
생리학, 행동 분석 기법을 적용했다. 그 결과 문어의 화학촉각 수용기가 더 정교하다는
점
을 밝혔다. 연구팀은 “화학촉각 수용기가 정교하게 발달하며 다리로 자연스레 물체를 구분하는 등의 행동을 만들어냈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같은 날 문어의 화학촉각 수용기를 극저온 전자현미경으로 ... ...
모더나 창업한 랭거 "첨단 약물전달시스템, 암 백신 개발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4
항체를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mRNA 기술은 체내로 전달이 잘 안된다는
점
이 약
점
으로 꼽혀왔다. 모더나는 폴리글리콜에틸렌으로 구성된 나노입자를 mRNA에 덧입히는 방식으로 체내까지 전달되도록 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염기서열이 공개된 지 이틀 만에 백신을 만들었다. 랭거 교수는 ... ...
[기후위기와 산림] '사라진 꿀벌' 돌아오게 하려면 헛개나무 심어야
2023.04.14
경제성 있는 토지로 전환한 좋은 산림비즈니스 모델이다. 현재 처해있는 양봉산업의 문제
점
을 극복하고 꿀벌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종의 밀원단지를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밀원자원의 부족은 양봉 생산성의 감소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꿀벌의 개체수 감소에도 영향을 미쳐 생물다양성 ... ...
튀르키예 대지진으로 땅덩이 최대 6.6m 이동
동아사이언스
l
2023.04.14
이 밖에 연구팀은 지진으로 문경과 강릉의 지하수 수위가 각각 약 7cm, 3cm 상승했다는
점
등도 밝혔다. 송 본부장은 “지질재해 연구분야에서 확대되고 있는 원격탐사기술을 활용한 사례로 재해를 줄이기 위한 핵심기술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한국 연구자들, 과대포장·허황 없어...논문 투고 늘려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말했다. 그는 “투고되는 논문을 미리 요약해주는 등의 역할을 24시간 할 수 있다는 게 강
점
”이라며 “바이오 아카이브로 과학의 속도가 빨라지며 과학 논문의 민주화가 일어났다. 20년 후에는 논문 출판법이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양귀비 대신 효모로 아편 진통제 만들어...합성생물학, 인류 건강 플랫폼"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크리스티나 스몰케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13일 제주에서 열린 한국생물공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에서 기조강연자로 나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제주=고재원 ... 스몰케 교수는 “스타트업들은 초기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한국 정부도 그런
점
을 유념해야 한다”고 밝혔다. ... ...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로봇수술 2000례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가임력을 보존할 수 있으며 피부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는 만큼 수술 후 흉터가 적다는
점
에서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다. 이정렬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장은 “향후 의료진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교육이 가능하도록 ‘산부인과 로봇수술 트레이닝 센터’를 구축해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 ...
대덕특구·KAIST 달리는 무선충전 버스 '특구 1번' 운행 멈출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10명 내외의 승객이 특구 1번 버스를 이용하는 셈이다. 버스로서 효용성이 떨어진다는
점
도 배제하긴 어렵다. 노선 길이가 23.5km임에도 운용되는 버스가 3대 뿐이라 배차간격이 40분에 달하기 때문이다. 한 과학계 관계자는 “이도 저도 아닌 버스가 됐다”며 “신기술 실증이란 목적을 가졌지만 정작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