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대학"(으)로 총 3,144건 검색되었습니다.
-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2010.08.10
- - 1997년~현재 통증발현연구단장 - 2006년~2008년 한국뇌과학회 부회장 - 2006년~2007년 서울대학교 생명과학공동연구원 부원장 - 2007년~2008년 대한약학회 수석부회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2010.07.28
- 정혁 단장은 1974년~1978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 학사 1980년~198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석사 1982년~1985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원예학과 박사 1986년~1992년 한국과학기술원 부설 유전공학센터 선임연구원 1992년~1994년 유전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실장 1992년~2002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 “생물자원 전쟁 이미 시작… 과학적 분류부터 응용까지 지원” 동아사이언스 l2010.07.06
- 1981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1985 미국 오레곤대학교 국제경제학 석사 1990 미국 오레곤대학교 경제학 박사 1979. 5 행정고시 제22회 1991. 1 ~ 1994. 2 폐수관리과장, 지구환경과장, 해외협력과장 1994. 2 ~ 1999. 2 주 케냐 한국대사관 참사관(환경), 수도정책과장 1999. 3 ~ 2000. 2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2000. 3 ~ 2001. 8 ... ...
- “미래혁명 BT세상에서 터질 것… IT도움 절실하다” 동아사이언스 l2010.06.07
- 1990. 9~1992. 9 미국 록펠러대학 분자종양학실 객원연구원 1996. 4~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생화학교실 교수 2000. 3~2004. 6 (주)마크로젠 대표이사 사장 2009. 4~ 현재 한국바이오협회 초대 회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 ...
- “국토의 64%는 산림, 생명과학 연구의 보고” 동아사이언스 l2010.05.25
- 농과대학 임학과 1983. 3~1985. 2 서울대학교 대학원 임학과(석사) 1985. 3~1994. 2 서울대학교 대학원(농학박사) 1979.12 제15회 기술고시 합격 1997. 2~1998. 9 임업정책국 국제협력과장 1998.10~2000. 3 임업연수원장 2000. 4~2-04. 1 산림청 임업정책국장 2005. 2~2006. 3 산림청 산림자원국장 2006. 4~2008. 3 ... ...
- “한국 BT, 비즈니스 인력 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2010.05.06
- 때문이다. 계속 협력해왔으면 자기 수준을 정확히 알 수 있다. 만약 정부에서 기업이나 대학에 연구비를 줄 때 외부 전문가를 컨설턴트로 초빙하는 등 협력을 맺도록 강제하는 것도 방법일 것 같다. ▽윤태영=협력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은 동의한다. 하지만 억지로 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가장 ... ...
- “국내 바이오 기업은 30점, CEO 욕심 버려야 성공” 동아사이언스 l2010.04.28
- 통해 경쟁력 있는 기업, 성공한 기업을 만들어야 한다”며 “아직 시장이 없는 분야 즉 대학이나 연구소 등에는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현재 바이오산업의 생태계를 보면 초식동물인 비상장회사, 육식동물인 상장회사는 성장하고 있는데 풀이라고 할 수 있는 실험실 ... ...
-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2010.04.14
- KIST) 유전공학연구소 응용미술생물연구실 실장 (책임연구원) 1992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위촉교수 1993년 KIST 유전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 2001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경생물소재연구실 실장 2002년 (현)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단장 2003~2004년 ... ...
- “실패한 연구, 발상 바꿨더니 럭키 드러그” 동아사이언스 l2010.04.13
- 산업과 경영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며 “6년간 교육 중에는 경영대학원(MBA)에서 배우는 것 같은 실용적인 산업과 경영학 과정이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외에도 “앞으로 키우는 바이오 인재는 처음부터 글로벌 수준에 맞춰야 한다”며 “외국어 구사 ... ...
- “국가 R&D 효율 높이기… 정책연구시스템부터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2010.04.05
-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 4인이 꼽은 미래 성장동력 R&D 발전전략 ① “R&D 주도권, 대학과 출연연으로 이양해 상호경쟁보다는 상호협력 이끌어야” ② “과학기술이 산업화로 이어지도록 과학기술경영 인력 키워야” ③ “R&D 목표를 공공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둬야” ④ “R&D 지원·관리 기관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