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0,479건 검색되었습니다.
클럭에 매달린 프로세서에는 미래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09
그래픽 연산장치의 위대한 발견 - 범용그래픽 처리장치(GPGPU)처음부터 코어를 수백 개
이상
갖고 태어난 녀석이 있다. 바로 그래픽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인 GPU다. 최근 GPU는 슈퍼컴퓨터의 고용량 연산을 담당할 차세대 장치로 떠오르고 있다. GPU는 그래픽 카드 회사인 엔비디아(nVidia)가 1999년 처음으로 ... ...
F1 머신에 민무늬 광폭 타이어를 다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09
힘이 좋다. 머신은 무게가 약 400kg 정도로 일반 승용차의 40% 밖에 되지 않지만 시속 300km
이상
으로 달릴 때 무게는 12t에 이른다. 타이어는 이 엄청난 무게를 견디면서 약 200km를 주행한다. 일반적으로 경기당 주행거리는 305km 정도다. F1 머신은 경기마다 1회 정도 타이어를 교체한다. 고속으로 달리기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09
아주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움직이는 유기체”라면서 “크고 넓은 시야로 최소 20년
이상
의 장기 목표를 세우고 이를 매년 수정하면서 방향을 조금씩 개선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어 “도시는 규모가 커질수록 정체성이 희미해지기 쉽다”면서 “문화와 역사 등 고유의 가치를 ... ...
그래핀, 신발 악취 없앤다
과학동아
l
201009
형태로 무수히 연결된 벌집구조의 물질이다. 반도체에 사용되는 실리콘보다 전자가 100배
이상
빨리 흐르고 구리보다 100배 많은 전류가 흐른다. 접거나 휘어도 전기적 성질이 바뀌지 않아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전자종이 재료로 활용할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연구진은 이런 그래핀이 악취의 원인인 ... ...
쫄깃쫄깃 타피오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09
연구가 활발하다. 미국과 스페인에서는 이미 일반 카사바보다 베타카로틴이 30배
이상
많아 적은 양으로도 일일권장량을 넘는 카사바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국내에서는 스트레스 저항성 고구마를 개발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경바이오연구센터 곽상수 박사가 개발하고 있다. 스트레스 ... ...
[물리]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
과학동아
l
201009
클리닉 1) 전위는 단위전하 (+1C)이 갖는 전기적 위치에너지이며 스칼라양입니다. 둘
이상
의 전하에 의한 전위는 더해줍니다. 2) 전기력은 보존력이고 보존력은 위치에너지를 가집니다. 전기력에 의한 위치에너지는 전기적 위치에너지로 표현되고 (+1C)이 갖는 전기적 위치에너지가 전위입니다. 따라서 ... ...
[화학] 화학평형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09
경향인 엔트로피의 경쟁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얼음이 녹는 과정을 보자. 0℃
이상
에는 엔트로피가 우세해 얼음이 녹는 과정이 자발적이나 0℃ 이하에서는 엔탈피 측면이 우세해 얼음이 녹는 과정이 비자발적이다. 얼음이 녹는 과정에서 엔트로피와 엔탈피는 0℃에서 균형을 이룬다.화학평형의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09
한층 더 해지고 한결 더 튼튼해졌다. 신 대목장은 “이번에 복원한 광화문은 1000년
이상
갈 것”이라고 장담했다.문화재청은 이번 광화문과 주변 전각 복원으로 경복궁 내 건물을 총 125동 복원했다. 고종 당시 500여 동에 이르던 경복궁 내 건물 중 25% 가량이 복원됐다. 문화재청은 앞으로 20년간 ... ...
가볍게 들어도 근육 커진다
과학동아
l
201009
과정에서 근육이 커진다는 속설이 일반적이었다. 필립스 교수는 “힘이 들어 더
이상
들 수 없을 때까지 든다면 가벼운 무게로도 근육을 만들 수 있다”며 “근육이 커지는 것은 운동을 통해 새로운 근육 단백질이 축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나로호 내년에 세 번째 발사
과학동아
l
201009
인공위성 덮개(페어링)가 분리되지 않아 실패했으며 올해 6월 10일 발사한 로켓은 발사체
이상
으로 공중 폭발했다.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8월 9~12일 대전에서 열린 제3차 한·러 공동조사위원회(FRB) 회의에서 나로호 발사를 실패로 결론짓고 재발사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 ...
이전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