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그리 어둡지 않다. 지금까지 로봇은 정교한 수술과 반복적인 수공 작업을 대체하는
수준
에 불과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수술하는 집도의가 로봇의 말단 장치에 전달되는 감각을 직접 느끼면서 수술하는 ‘햅틱 기술’(과학동아 2003년 10월호 참조)과 결합한 첨단 수술시스템으로 거듭날 것이다. ... ...
6년만에 일어나는 1등성 성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항상 존재하기 때문이다.행성들의 위치 오차는 워낙 멀리 떨어져 있어 거의 무시할
수준
이지만 달은 너무나 가까이 있어 조금의 오차로도 위치가 많이 틀어져 버리기 때문에 오차를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오늘날에도 달의 위치를 정확히 나타내기 위해서는 수백 개의 주기함수로 ... ...
안 봐도 보이는 모자 색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그 이전 번역판보다 훨씬 떨어졌다. 일본의 1960년대 출판
수준
이 1990년대 한국의
수준
보다 나았다기보다는 국내에서는 시시한 수수께끼 책 정도로 생각하고 너무 성의 없이 만들었던 게 아닌가 싶다.그래서인지 인터넷에서 한국과 일본의 퍼즐 관련 웹사이트들을 비교해 보면 양과 질 모든 면에서 ... ...
사람 피부같은 촉각 센서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한국의 휴보(HUBO)나 일본의 아시모 같은 인간형 로봇의 손가락에 사람과 비슷한
수준
의 기능을 하는 인공 피부를 입힐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윤 교수팀의 촉각센서는 지난해 말 일본 도쿄대에서 발표한 촉각센서보다 더 부드러운 재질을 이용해 외부 자극을 더 세밀하게 감지할 수 ... ...
7. 디자인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LG가 만드는 이동전화와 에어컨 등 가전·전자제품은 기능과 디자인 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
이다. 하지만 아직 많은 한국기업들이 디자인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세계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ICSID)의 피터 젝 차기 회장한국 디자인이 기지개를 켜고 있다. 많은 한국인들은 디자인 산업의 ... ...
한계없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없다.한편 전문가들은 이동전화가 2.5세대에서 3세대, 4세대로 진화할수록 와이브로
수준
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와이브로와 휴대전화가 시장에서 서로 충돌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조기 출범하면 수명이 짧은 틈새서비스로 전락할 수도 있다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알아내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뇌기능 연구는 과거 이론적인
수준
에 머물러 있던 마음의 이론이 실제 뇌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활발히 검증하고 있다.부위별 기능 나타낸 뇌지도뇌의 어떤 부위가 어떤 기능을 할까. 이 답을 쉽게 풀기 위해서는 뇌지도가 필요하다. ... ...
출연연, 억대 연봉 과학자 줄이어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분야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강 박사는 고체형 유기태양전지의 성능을 세계 최고
수준
으로 향상시켜 상용화 시기를 크게 앞당겼다.KIST는 한 해 동안 뛰어난 성과를 낸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봉의 50%를 지급하는 연구성과급 제도를 지난해 6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개발은 ‘합리적인 의약설계’라는 방법을 추구해 왔다. 질병이 일어나는 원인을 분자
수준
에서 규명해 그 과정을 차단하거나 변경하는 약물을 설계하는 방법이다. 마치 자물쇠의 구조를 밝힌 뒤 거기에 맞는 열쇠를 깎는 것과 같다.그런데 최근 진화의 방식이 신약 개발에도 도입되고 있다. 다양한 ... ...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년대 후반에는 프랑스와 미국에서 사람에게 직접 골수를 이식하기 시작했다.최초로 세포
수준
에서 성체줄기세포의 존재를 증명한 것은 1961년. 캐나다의 제임스틸과 어니스트 맥쿨록 박사 연구팀은 방사선을 쪼여 골수세포를 파괴한 생쥐에 정상골수를 주사했다. 연구팀은 골수가 비장에서 다양한 ... ...
이전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