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소행성의 흔적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커다란 흔적을 남기기도 해요.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남서쪽으로 120km 정도 떨어진 ‘브레드포트 돔’이 대표적이지요. 지구에 있는 소행성 충돌 흔적 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 되고, 크기도 커요. 게다가 가장 깊답니다. 약 20억 2300만 년 전에 충돌했을 당시 소행성이 지하로 25km나 ... ...
- [과학뉴스] 수심 8178m에 사는 물고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데 성공했답니다. 일본 해양연구기구의 오구리 가즈마사 주임기술연구원은 “이 정도 심해에 물고기가 있다는 게 반가웠다”며, “앞으로 샘플 채취 등을 통해 심해의 생태계를 더 자세히 밝히겠다”고 말했어요 ... ...
- [가상인터뷰] 카시니 호, 토성에서 최후를 맞이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여기까지 오는데 꼬박 7년이 걸렸지만, 전파를 통해 지구까지 자료가 가는 데는 68~84분 정도 걸린답니다. 토성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크고 아름다운 고리예요. 이 고리는 주로 얼음덩어리나 돌덩어리들이 토성을 공전하면서 생겼어요. 옛날 사람들은 지구에서 이것을 보곤 토성의 귀라고 생각하기도 ... ...
- Part 3. 핵무기, 미사일에 싣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9000km나 된다고 해요. 이 거리는 북한에서 미국 알래스카까지 충분히 날아갈 수 있는 정도랍니다. 대륙간 탄도미사일은 5500km 이상 떨어진 다른 대륙까지 공격할 수 있는 무기예요. 우주발사체 로 켓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맨 꼭대기에 위성 대신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탄두가 들어가지요. 또 ... ...
- 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이어 “아직 이번 데이터를 분석 중이지만, 보통 개기일식이 일어나면 기온이 2℃ 정도 떨어지고 일부 지역에서는 수℃ 이상 떨어지기도 한다”며, “시민들 덕분에 태양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새로운 것들을 배우고 있다”고 말했지요. 일식이 일어날 때 동물은 이상행동을 한다?!지난 8월 ... ...
- [현장취재②] 지구사랑탐사대 5기 심화교육 곤충 표본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된다는 설명에 눈 딱 감고 채집한 곤충을 냉동실에 차례차례 넣었어요. 냉동실에서 15분 정도 얼린 곤충들은 대부분 조용히 죽어 있었어요. 이제 본격적으로 표본을 만들 차례! 배윤혁 연구원은 “표본을 만들기 위해서는 썩기 쉬운 내장과 살을 빼내고 그 안을 솜으로 채운 뒤 약품 처리를 한다”고 ... ...
- [과학뉴스] 검은 피부로 변신한 바다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있었지요. 검은색으로 변한 거북머리바다뱀은 고리 무늬가 있는 것보다 허물을 두 배 정도 많이 벗기도 했답니다. 연구를 이끈 클레어 고리안 교수는 “검은색을 내는 색소인 멜라닌은 중금속과 결합해 몸 안으로 중금속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 준다”며, “주변 바다가 중금속에 오염되자 ... ...
- [과학뉴스] 화성에는 돌풍과 함께 눈이 내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공기는 따뜻한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이지요. 이때 구름 속 얼음 결정이 최대 초속 10m 정도의 돌풍을 타고 지상으로 떨어지며 화성에도 눈이 내리게 된답니다. 연구를 이끈 에이메릭 스피가 교수는 “화성의 눈은 대기가 안정되면 금세 그친다”라고 말했어요 ... ...
- [가상인터뷰] 멸종된 도도새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살았던 도도새예요. 몸길이는 1m 정도이고, 몸무게는 최대 14kg 정도지요. 또 부리는 23cm 정도인데, 부리의 끝은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답니다. 모리셔스 섬에는 먹이가 풍부하고, 천적이 없어 1500년대 이전까지 번성했어요. 날지 못하지만 주로 바닥에 떨어진 과일을 먹으며 살았답니다. 그러다 ... ...
- [헷갈린 과학] 주머니 속에 새끼를 쏙~! 캥거루 VS 왈라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특징이랍니다. 또 캥거루와 달리, 다리가 조금 짧아요. 이 때문에 최고 속력도 시속 48km 정도로 캥거루보다 느리지요. 이빨을 비교하면 가장 정확하게 캥거루와 왈라비를 구별할 수 있어요. 왈라비는 캥거루와 달리 위턱 셋째 앞니에 세로로 홈이 나 있고, 어금니 앞끝에 튀어나온 부분이 있거든요. ... ...
이전3083093103113123133143153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