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1억 번째 태양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지구에서 3000km 상공에서 사진이 날아왔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10년 2월 11일 발사한 태양활동관측위성(SDO)이 보낸 사진이에요. 올해로 만 5년이 된 SDO는 그동안 어마어마한 양의 태양 사진을 보냈지요. 그리고 1월 19일 미국 동부표준시간 오후 12시 49분, 1억 번째 사진을 찍었답니다.SDO에는 관 ... ...
-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보통 황사는 봄에 많이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4월은 1년 중 평균적으로 황사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시기다. 그런데 지난 겨울, 최악의 황사가 들이닥쳤다. 12~2월 사이 서울에서 발생한 황사 일수는 총 6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겨울철 평균인 0.9일과 비교하면 6배가 넘는 수치다. 올 봄에는 ... ...
- 만신창이 황다랑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참치김밥! 참치 통조림! 참치김치찌개! 참치 초밥! 생각만 해도 군침이 돌아! 참치도넛! …이것은 아니군. 어쨌든 이렇게 맛있는 참치가 위험하다는 소식을 들었어. 전세계 사람들이 워낙에 많이 잡아 먹었기 때문이래. 그뿐만 아니야. 그나마 남아 있는 참치도 바다 오염 때문에 더 이상 안 먹는 게 ... ...
-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왜 양의 해에 양을 다루지 않나요? 양띠는 서럽습니다!”‘청양의 해’가 밝자마자 어과동 편집부가 발칵 뒤집혔어요. 주로 정치권 이슈가 올라가던 모 포털 사이트 서명 게시판에 어과동이 등장했지 뭐예요? 양띠 독자가 양띠 해에 양 기사를 실어달라는 1만 명 서명운동을 벌인 거예요. 이런 ... ...
- 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스마트폰이 생기고 나서 아버지와 공유하는 순간이 늘었다. 대구와 서울, 수백 km 떨어진 거리지만 스마트폰으로 찰칵 사진을 찍어 메신저로 사진을 보내면 먼 거리는 무의미하다. 아들은 야근하는 난잡한 책상을, 아버지는 어머니와 탄 케이블카 사진을 보낸다. 똑똑한 물도 이런 공유를 전면에 내 ... ...
- [과학뉴스] 응답하라 1986, 가장 극적이었던 혜성 이야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1986년은 여러 모로 특이한 해다. 그 해에 태어난 이들은 올해 한국 나이로 서른 살이 됐다. 지금 이 기사를 읽는 독자 가운데에 이 해에 태어난 독자도 있겠다(과학동아 편집부에도 이 해에 태어난 기자가 몇 명 있다. 인생의 중요한 한 고비를 넘긴다고 싱숭생숭해 하고 있다. 괜찮아…, 별거 없어). ... ...
- [과학뉴스] 빛의 속도 논란, 아인슈타인 승?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아인슈타인의 ‘광속 불변의 법칙’이 관측으로 입증됐다. 프랑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과학자들이 모인 국제 공동연구팀은 에너지가 서로 다른 빛이 지구에 동시에 도달한다는 관측 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물리학’ 3월 16일자에 발표했다.앨버트 아인슈타인이 1905년 제시한 상대성이론에 따르 ... ...
- 동네 서점을 거니는 느낌으로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동네 서점이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의 놀이터였던 시절이 있었다. 잔잔한 음악이 흘러 나오는 서점 안을 그저 휘 둘러보면서 거니는 것만으로, 차곡차곡 쌓인 지식이 머릿속으로 들어오는 것 같았다. 실제로도 그랬다. 눈에 띄는 책 한 두 권을 슬쩍 들춰봤다가, 운이 좋으면 나와 동시대에 존재 ...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거짓말이 없다면 인류는 절망과 지루함으로 죽어버릴 것이다.” -아나톨 프랑스, ‘꽃피는 삶’“지나친 정직은 인간사회를 붕괴시킬 수 있다.” -데이비드 리빙스톤, ‘우리는 왜 거짓말을 하는가’‘거짓말의 발명(2009)’이란 영화가 있다. 모두가 거짓말을 못하는 사회에서 유일하게 거짓말을 ... ...
- [과학뉴스] 먼지 같은 존재? 우주먼지는 아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집 먼지, 미세먼지 등 지구상의 먼지는 그야말로 ‘먼지 같은 존재’ 취급을 받는다. 하지만 우주로 나가면 얘기는 달라진다. 행성이나 별을 만드는 데 우주먼지가 중요한 재료가 되기 때문이다.덴마크 코펜하겐대 다라치 왓슨 교수팀은 최근 128억 광년 떨어진 원시 은하 A1689-zD1이 우주먼지로 가득 ... ...
이전3083093103113123133143153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