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02
특수 팩에 넣어 즉석에서 만든 된장국에 김치와 밥을 먹었다. 한국식품연구원 김성수
박사
가 우리 전통음식을 우주식으로 개발한 덕분이다. 칼슘과 섬유소를 강화하고 염분을 줄였다고 한다. ‘역시 한국인은 김치에 밥이 최고야.’다음날은 아침부터 지구 사진을 찍는데 몰두한다. ISS가 한반도 ... ...
당나라,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과학동아
l
200702
삶은 어려웠고 이 때문에 농민 반란이 일어나 당나라가 멸망했다는 설명이다.하우크
박사
는 “지난 1만5000년 동안 겨울 계절풍이 여름 계절풍보다 강한 시기는 세 차례뿐이었다”며 “당시 계절풍의 변화는 중남미 멕시코 지방에서 마야문명 멸망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 ...
우주로 이사가는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2
곳으로 변했기 때문이에요. 100여 년 전 스티븐 호킹
박사
의 말처럼 말이에요.스티븐 호킹
박사
의 경고!우주물리학자로잘알려진스티븐호킹입니다. 저는2006년 6월 지구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앞으로 인류가 살아 남으려면 우주에 정착촌을 세워야 한다고 이야기했어요.너무 겁을 준 거 아니냐구요? ... ...
탐나는 열성
과학동아
l
200702
비율이 100년 전에 비해 3분의 1 이상 줄었다고 보도했다. 미국 로욜라대 마크 그랜트
박사
는 “20세기 초 미국인의 2분의 1 정도가 푸른 눈을 가졌으나 21세기에 들어선 지금 미국인의 약 6분의 1만이 푸른 눈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백인이 황인이나 흑인과 결혼하는 비율이 늘어난 것이 가장 큰 ... ...
14년 우정이 만든 빛
과학동아
l
200702
경기도 4배, 국가경쟁력은 세계 1위스위스는 마가리톤도 부총장이 제 교수, 후
박사
와 공동연구를 하듯 학교와 기업, 국가가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학문과 산업부문 모두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마가리톤도 부총장은 “나는 로잔공대의 부총장으로 있지만 이탈리아에서 태어났고 국적은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02
890~1972 미국의 전자공학자·물리학자 그로브시티 칼리지를 졸업하고 1923년 예일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양극과 음극 사이에 그리드를 하나 또는 둘 가진 열음극방전관(熱陰極放電管 ; 음극을 가열하여 열전자방출을 이용하는 방전관) 그리드 제어 방전관(制御放電管)으로 분류되나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과학동아
l
200702
조선의 천문학자들이 ‘칠정산외편’을 연구한 이유다.최근 한국천문연구원 안영숙
박사
의 연구에 따르면 세종 때 칠정산외편법으로 일식의 시작 시간을 예측했을 때 오차는 3분 정도였다. 월식은 일식보다 오차가 더 크지만 30분 내에서 예보할 수 있었다. 그런데 어떤 역법이든 계산에 쓰인 ... ...
곰스쿨, 과학동아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0702
개념도 “성체줄기세포는 지금 우리 몸에도 있다”며 명쾌하게 정리한다. 2005년 황우석
박사
의 줄기세포 논문조작 사건 이후 줄기세포라는 용어는 친숙하지만 그 개념을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스타 강사의 무료 강의!‘곰스쿨’(www.gomschool.com)이 과학논술 교재로 ... ...
당신이 마신 술의 양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02
문제는 이 분배계수가 미국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며 불확도도 크다는 점이다.우
박사
는 “민족, 성별, 체중, 나이에 따라 분배계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한국인에 적합한 분배계수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에서는 음주측정기의 불확도를 5%로 유지한다. 혹 ... ...
우주실험 임무 걱정 마세요!
과학동아
l
200702
이 씨는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에 비해 연구 성과 홍보가 부족하다고 느꼈다. 그래서
박사
과정을 마친 뒤 과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홍보하고 발표하는 국제회의 기획자가 되기를 꿈꿔 왔다.이 씨가 가장 기대하는 우주 실험은 무엇일까. 이 씨는 “반도체 공정과 유사한 실험을 많이 해 와서 그런지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