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5,17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의 화폐 사이버 머니
과학동아
l
200005
홈페이지에서 등록하게 되면 가맹점 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한번 등록한
이후
에는 얼마든지 재충전해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아직까지 금액을 충전하려면 신용카드나 온라인 입금을 이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기는 하다. 이코인 역시 카드 뒷면에 새겨진 16자리 고유 번호를 이용해 ... ...
2. 별 여행을 실현시킬 미래의 추진기술
과학동아
l
200004
2년, 다시 약 2년간 제2단 추진한다. 총 3.8년의 추진이 끝나면 광속의 12-13%에 달하며
이후
에는 이미 얻은 속도로 관성비행을 한다. 관성비행은 약 40년간 계속된다. 그사이 필요에 따라 궤도수정을 하며 관측활동이 계속된다. 이 동안 다이달로스에 이상이 발생(우주먼지와 충돌해 외부구조물이 ... ...
소를 사랑한 복제의 마이다스 손
과학동아
l
200004
형편이 어려워 소를 시작했지만 소는 어머니와 6남매의 다름없는 식구였다.초등학교
이후
공부하느라 소와 같이 할 수 있는 시간은 적었지만 어린 마음속엔 작은 꿈이 커가고 있었다. "소와 관련된 공부를 해야겠다."황교수의 꿈은 어렵지 않게 이뤄질 수 있었다.1972년도에 서울대 수의학과에 지원한 ... ...
화담 서경덕
과학동아
l
200004
통해 우주적 이치를 체득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바로 이런 이유로 서경덕의 자연철학은
이후
조선의 성리학자들에 의해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일반적으로 성리학자들은 서경덕과 달리 자연철학에 대한 탐구보다도 도덕철학과 사회적 윤리의 정립을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이다.오히려 서경덕의 ... ...
멸종위기 식물 되살리기
과학동아
l
200004
감소가 지구차원에서 그리 큰 문제가 된 적은 별로 없었다.그런데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급속한 인구 증가와 공업화로 많은 식물종들이 위협을 받기 시작했다. 1996년 국제자연보존연맹의 보고서에 따르면 수많은 식물종들이 살고 있는 아시아 열대림은 이미 67%가 파괴됐다.사라진 이유부터 ... ...
화폐에 등장하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0004
따라 변화한다. 정치가 중요하던 냉전시대에는 정치인이 주요 인물이었고, 1980년대
이후
부터 문화와 과학이 중요시되면서 문화예술인과 과학자가 중요하게 부각됐다. 이는 화폐 인물이 사회적인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말해준다. 따라서 이제 과학기술이 세계를 주도하는 21세기에는 과학자가 ... ...
별똥별을 온몸으로 맞은 21세기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004
우주과학자로 바뀌었다. 사실 당시에는 천문학자라는 말을 몰랐다고 고백했다. 그 날
이후
신문에 등장하는 별, 우주, 하늘과 관련된 모든 기사를 스크랩했다. 아폴로 11호와 13호가 지구를 출발해 달에 도착하는 과정도 만화로 수없이 그렸다. 수업시간에 칠판에는 우주선들이 끊임없이 어른거렸다고 ... ...
전세계 정보감시망 에셜론
과학동아
l
200004
테러리스트, 마약 거래, 정치와 외교 정보를 수집하는 게 본연의 임무이다. 그러나 80년대
이후
부터 이들은 기업과 국제무역에까지 감청을 서슴지 않고 있다. 더욱이 에셜론에서 수집한 정보를 자국의 기업에게 넘겨주기까지 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현재 에셜론은 국제적인 분쟁의 요소가 되고 ... ...
멸종위기 동물 어떻게 되살리나
과학동아
l
200004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하루 1백36종의 생물이 사라지고 있다. 공룡이 멸망한
이후
최대의 멸종률이다. 우리나라 2만4천여종 동식물 중에서도 해마다 3백여종이 사라지는 형편이다. 이런 상황에서 자연방사(reintroduction)는 멸종을 막아보려는 중요한 시도이다.자연방사는 대개 이미 동물이 ... ...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
과학동아
l
200004
대기관측자료를 지구로 보내오는 성과를 올렸다.패스파인더의 성공적인 화성탐사
이후
미국은 최근 두번의 큰 좌절을 맛보아야 했다. 첫번째는 작년 9월 23일 화성의 궤도를 돌며 물존재 가능성을 확인할 목적을 띤 화성기후위성의 실종이고 둘째는 작년 12월 3일 화성의 남극에 착륙해 물을 확인하고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