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너’와 ‘나’를 잇는 끈 협력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지난해 미국 동부의 초등학교에서 총기 사고가 있었습니다. 30명에 가까운 유치원생과 선생님이 희생됐죠. 그런데 시간이 조금 지나자 조금 다른 이야기가 들려옵니다. 범인에게 몸을 던져서 총으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하려고 했던 교장 선생님, 담당 반의 어린이들을 벽장 속에 숨기고 범인을 다른 ... ...
- 200호 영예의 어린이과학동아 대상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여기는 두근두근 어린이과학동아 대상 시상식 현장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의 명성답게 열기가 정말 대단합니다.이번 어린이과학동아 대상의 심사위원은 어과동 편집부입니다.마감을 방금 마치고 들어와 얼굴에 다크서클이 턱까지 내려왔군요!자, 그럼 본격적으로 어린이과학동아 대상 시상식 ...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전 정말 억울하다고요~!” 국내 유일! 세계 유일! 확률 사건만을 해결하는 ‘확률 법정’은 오늘도 억울한 사연을 가진 사람들로 떠들썩하다. 수학 사건 전담인 ‘나해법’ 판사가 법봉을 두들기며 재판 시작을 알리자, 첫 번째 소송을 제기한 ‘공내기’ 씨가 침을 튀기며 억울함을 호소했다.'권 ... ...
- 내 마음이 보이니? 여론조사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아아아~, 만 년이나 잤더니 목이 뻣뻣하네! 역시 밖은 상쾌해! 아, 참! 주인님, 안녕하세요! 램프의 요정 지니예요. 바로 여기 램프에 소원을 말하면 무엇이든 들어 드립니다.”“소원을 들어 준다고? 그럼 요즘 가장 유행하는 패션이 뭔지 알려 줘.”며칠 뒤 살이 쏘옥 빠진 지니가 울면서 나타났다 ... ...
- [체험] 소행성 접근, 수학으로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지난 1월 9일 오후 8시 43분, 소행성 ‘아포피스’가 지구 가까이에 모습을 보였다. 다행히 큰 문제없이 지구를 빗겨갔지만, 전문가들은 만일의 사태를 꾸준히 대비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런 소행성의 접근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학’이 필요하다.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감 ...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세계에서 가장 빠른 유인기는 미국 록히드사의 블랙버드 SR-71이다. 1964년 도입되고 1990년 퇴역한 이 비행기의 속도는 음속의 3배가 넘는 마하 3.3. 오늘날 가장 최첨단 전투기인 F-22 랩터의 최고속도 마하 2.25보다 시속 1000km 이상 빠르다. 그런데 만약 사람이 타야한다는 조건을 뺀다면 세계에서 가장 ... ...
- 이과 갈까 문과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인문계열은 사회! 자연계열은 과학!국가 교육과정에는 계열 구분이 없지만 일선 학교, 특히 일반고에서는 인문계열과 자연계열을 나눠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문계열은 사상, 심리, 역사 등 인간과 사회에 관련된 학문을 하기 위한 기초 공부를 합니다. 자연계열은 자연계의 원리나 현 ...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서정선 서울대 의대 교수는 “DNA는 우주가 시간에 대항하는 물질로 선정한 것”이라고 표현한다.하지만 초기 지구가 처음부터 DNA를 선택했던 것은 아니다.오히려 처음의 원시 생명체는 DNA 이전에 RNA를 먼저 선택했으리라는 예측이 있다.이것이 1990년대와 2000년대 초에 대중화된 ‘RNA 세계’ 가설이 ... ...
- PART 2. 큐리오시티는 뉴턴의 눈으로 길을 찾는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현대 물리학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으로 바뀌었다지만 우리의 일상은 뉴턴역학으로 대표되는 고전물리학이 훨씬 더 잘 설명해준다. 그렇다면 첨단기술 분야에서는 어떨까. 상대성이론을 이용해 비행기와 로켓이 날아다닐까. 최신 자동차는 상대성이론으로 만들까.나노기술 분야 ... ...
- 빙하 호수 탐사 최대의 적은 보일러 말썽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지난 2012년 12월 17일 엘즈워스 호수에 닿기 위해 얼음을 뚫고 있던 영국 연구팀은 난관에 봉착했다. 60m를 파고 들어갔을 때 물을 끓이는 보일러가 말썽을 일으킨 것이다. 얼음을 뚫고 들어가기 위해서는 고온·고압 제트를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보일러의 역할이 필수다. 마틴 지커트 프로젝트 연구팀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