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숲속 개미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어렸을 때부터 곤충 키우는 걸 무척 좋아했어요. 그중에서도 개미를 연구 주제로 잡은 건 대학에서 본격적으로 생물에 대한 공부를 시작한 이후지요. 개미의 다양성에 흥미를 느꼈거든요. 그래서 지금도 개미의 분류법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답니다.한반도에는 170여 종, 우리나라에는 140여 ... ...
- 옥토끼와 떠나 보자! 달나라 안내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안녕? 난 달에 사는 옥토끼야. 아까 네가 여기 달나라를 올려다보는 걸 봤지. 추석이라 둥근 보름달을 보고 소원을 빌었구나? 추석 연휴는 긴데, TV엔 재미있는 것도 안 하고…. 재미있는 일을 만들어 달라고? 그럼 나와 함께 달나라 여행을 떠나 보지 않을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1. ... ...
- 달나라 여행 어디서 묵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LCROSS) 위성이 달의 남극에 부딪히며 처음으로 물을 찾아냈지요. 또, 2017년엔 미국 브라운대학교 연구팀이 물 지도를 완성하기도 했답니다. 최근 연구 결과는 인도우주국의 찬드라얀 1호가 측정한 자료를 다시 분석해 더욱 직접적인 증거를 찾아냈다는 데 의미가 있어요. 연구팀은 지금껏 한번도 ... ...
- 달나라 여행 광산 투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생각보다 까다롭지? 그런데 사람들은 왜 이렇게 까다로운 달 여행을 하고 싶어 할까? 달나라 여행은 도전 그 이상의 의미가 있어. 달에는 지구에서 보기 힘든 희귀한 자원이 많이 있기 때문이지. 그래서 사람들은 우리 달나라를 ‘달 광산’이라고도 불러. 달에 광산이 있다고?!지금까지 우주 비 ... ...
- [과학뉴스] 인류가 그린 가장 오래된 그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윗워터스란드대학교의 크리스토퍼 헨실우드 교수팀이 남아프리카 해안의 블롬보스 동굴에서 현생 인류가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을 발견했어요. 연구팀이 찾은 조그만 돌에는 붉은 줄이 여럿 그어져 있었지요. 이후 직접 그림을 그려 실험한 결과, 줄무늬는 황토를 돌에 문지를 때 그려진 ... ...
- 바닷가 식물에 숨겨진 탄소 저장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이리저리 갈라진 줄기, 물 밖으로 비죽비죽 튀어나온 뿌리, 마치 걸어 다니는 나무처럼 생겼잖아? 그런데 저 이상하게 생긴 맹그로브 나무가 블루카본이라고? 광합성으로 이산화탄소를 잡아라!흔히 바닷가에서는 나무가 살 수 없다고 생각해요. 파도가 끊임없이 밀려오는데다 뿌리는 항상 바 ... ...
- [출동! 기자단] 이끼도롱뇽 탐사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생화학교실 연구원) 지난 8월 어과동에 아마존 시리즈를 연재한 전종윤 연구원은 서울대학교에서 양서파충류를 연구하고 있어요. 이끼도롱뇽 역시 주요 연구 주제 중 하나지요.Q 이끼도롱뇽을 어떻게 연구하게 되셨나요?미국에서 사는 도롱뇽이 어떻게 우리나라에 살게 됐을까 궁금해서 탐구해 ... ...
- [지구를 위한 과학] 매미 찾아 삼만리! 배윤혁, 허지만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잘 마무리 짓고 싶어요. 그 뒤에는 생태학을 연구하는 대학원 연구실을 알아보려 해요. 대학원에 진학해 앞으로도 계속 생물 연구를 이어 나가고 싶어요. 허 제주도 한라산의 매미를 연구하고 싶어서 제주대에 진학했어요. 내륙에는 검정색 풀매미만 있는데, 제주도에는 초록색 풀매미만 있거든요. ... ...
- [가상인터뷰] 도시 소음 때문에 새가 빨리 늙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때문에 빨리 늙고 있어? 응. 최근 독일 막스플랑크 조류학연구소와 미국 노스다코타주립대학교 국제공동연구팀이 도시 소음에 노출된 금화조의 텔로미어가 더 빠르게 짧아지는 것을 발견했어. 텔로미어는 그리스어로 ‘끝’을 뜻하는 ‘텔로스’와 ‘부분’을 뜻하는 ‘메로스’를 합친 단어야. ... ...
- AI 해설 경기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나와 잘 읽히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요. AI 해설은 총 4개의 팀 중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학생이 주축을 이룬 ASUAIC 팀이 우승했어요. 팀과 선수 정보를 구체적으로 전달했고, 퇴장과 같은 특정 상황에 대해 정확하게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답니다. 팀의 리더인 치아 유 박사는 “실제 축구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