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제 1 화]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뒤 보름 만에 아버지가 비행기 창에 머리를 들이받다가 기절한 것이다. 어머니의 간병
덕분
에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던 병세가 한꺼번에 드러났다.2년 꼬박 아버지와 지냈다. 무척 힘들었다. 액자고 화병이고 집어던지는 바람에 신경이 곤두섰다. 그림을 즐기던 어머니가 벽에 걸린 그림들을 모두 ... ...
수소결합에 감사하는 북극곰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끓는점이 높다.물분자가 만든 정사면체 얼음북극곰은 물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수소결합
덕분
에 빙붕 위에서 살 수 있다는 사실을 알까. 온도가 낮아지면 물분자는 산소를 중심으로 다른 물분자 4개와 수소결합해 정사면체를 만든다.즉 물분자를 이루는 수소원자 2개가 각각 다른 물분자의 산소와 ... ...
세상을 창조하는 디자이너 2. 좋은 디자인을 하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그들이 만든‘씨라이트’란 전구는 종이처럼 얇다. 게다가 접거나 감을 수도 있다.
덕분
에 벽이나 기둥에 붙일 수 있다. 고정관념을 깬 그들에게 돌아온 선물은‘타임’지의‘2006 올해의 발명품’이었다.어떤 일이든 익숙해지는 건 좋아. 우리가 쓰는 물건도 마찬가지. 하지만 디자이너가 되려면 ... ...
세상을 창조하는 디자이너 4. 디자이너이너가 말하는 디자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디자이너이너가 말하는 디자인어때? 디자이너가 된다는 것. 생각보다 만만치 않을것같지. 하지만 지금까지본 것처럼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관 ... 만들기보다는 정말 로봇다운 로봇이 되도록 과학적이고 논리적으로 만들었답니다.
덕분
에 훨씬 생생한 모습으로 살아났지요 ... ...
PART1 수돗물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수돗물이 공급된 뒤부터다. 20세기 들어 인간의 수명이 약 35년 늘었는데, 이를 상·하수도
덕분
이라 해도 된다는 뜻이다. 현재에도 인류를 괴롭히는 질병의 80%는 물이 옮기는 수인성전염병으로 추정된다.1908년 서울 뚝도(뚝섬) 정수장에서 첫 물길이 열리며 우리나라에도 위생적인 수돗물 시대가 ... ...
우주로 이사가는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 자, 어때요? 새로운 행성의 정착촌이 맘에 드나요?아빠 : 네, 요다님의 꼼꼼한 소개
덕분
에 이렇게 우주에서 살게 되었어요. 가족들 함께 정말 고맙습니다!요다 : 하하, 쑥스럽구만! 그런데 아직 고맙다는 인사를 받기는 일러요. 정착촌에서도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있답니다. 마지막으로 그걸 ... ...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심폐소생술이나 중환자실 이용을 원하지 않았던 김 씨는 완화의료기관에 들어갔다.
덕분
에 갑갑하고 어두운 병실에서 벗어나 아름다운 정원이 내려다보이는 아늑한 곳에서 가족과 지낼 수 있게 됐다.암이 진행되면서 김 씨는 가끔 통증을 호소했지만, 의료진이 적극적인 통증치료와 ... ...
당신도 '프로슈머'입니까?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머물지 않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인터넷 사용자를 뜻한다. 임씨는 동영상 하나
덕분
에 세계를 대상으로‘공연’하는 행운을 거머쥐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상상하기 힘든 현상이다. 동영상 UCC의 인기 비결이 뭘까.만드는 사람과 보는 사람 입장으로 나눠 생각해보자. 만드는 사람 입장에서는 ... ...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있기 때문에 절개를 조금만 해도 된다. 게다가 로봇은 손 떨림 제거장치와 미세작동 기능
덕분
에 수술 부위의 혈관과 신경을 정확히 확인하면서 정교하게 암을 제거할 수 있다.현재 가장 많이 보급된 최첨단 로봇수술시스템은 ‘다빈치’라는 로봇이다. 다빈치 수술시스템은 ‘로봇 카트’, ‘수술 ...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김치와 밥을 먹었다. 한국식품연구원 김성수 박사가 우리 전통음식을 우주식으로 개발한
덕분
이다. 칼슘과 섬유소를 강화하고 염분을 줄였다고 한다. ‘역시 한국인은 김치에 밥이 최고야.’다음날은 아침부터 지구 사진을 찍는데 몰두한다. ISS가 한반도 상공을 지나갈 때 쳐다보니 황사가 우리나라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