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d라이브러리
"
둘
"(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1) 끊임없이 변신하는 정보사회의 불청객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가지고 있다.첫째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바이러스의 검출과 분석을 어렵게 만든다.
둘
째 랜덤화, 기계 종류, 모니터 종류, 클럭카드의 유무 등에 입각하여 바이러스가 작동한다. 셋째 IBM PC의 클론 제품에서만 작동하므로 원래의 IBM PC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것은 원래의 IBM PC를 선택하는 ... ...
노벨의 권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그러나 근년에 와서 노벨상의 권위나 또는 상금수준을 바싹 뒤쫓는 과학상들이 하나
둘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런 상들은 노벨상의 명성에 도전하기에는 아직 역부족이지만 노벨상에서 제외된 몇몇분야에서는 최고의 권위를 누리고 있다. 또 일부 새로 등장한 상 들은 상금수준에서 노벨상을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천문학자들의 수수께끼였다. 오늘날 실제로 식현상을 일으키는 것은 어두운 먼지 띠로
둘
러싸여 있는 한 쌍의 별이라고 생각되어 지고 있다. 엡실론 별은 1982년에서 1984년에 식현상이 있었고, 다음의 식현상은 2009년에 시작될 것이다.마차부자리에는 인상적인 세 개의 성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M36 ... ...
(4) 한글언어개발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할 수 있는 특권인가. 원래 프로그램이라는 것이 영어를 알아야만 가능한 것인가.
둘
다 아니다.지금은 '보통사람의 시대'다. 이것은 6공의 구호가 아니다. 실제 현재 사회의 모든 분야가 모든 사람들에게 개방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그렇다.컴퓨터산업에서도 어떻게 하면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이 쉽게 ... ...
천랑성의 색깔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수천년전 일이었을 것임이 분명하다.두번째 가능성은 천랑성A와 B
둘
다 가스구름에
둘
러싸여 희미하게 보이면서 붉게 나타나도록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가스구름 역시 수천년 동안 존재했어야만 하는데 지금은 현존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그와같은 상황도 부정하게 만든다.그렇다면 또 ... ...
(2) 연타율 높고 왼손 부담 크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입력하기 위해서는 첫소리 활자가 하나, 가운뎃소리 활자가 끝소리가 있고 없음에 따라
둘
, 끝소리의 활자가 하나로 모두 네벌의 활자를 가지고 있다.이러한 타자방식은 자판의 겉이 두벌식으로 배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글자들을 네가지의 부류로 구분하여 네벌식으로 타자하는 것이며, 이러한 ... ...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데이터대로 촬영할 수 있었다. 개기일식이 끝나갈 무렵에는 주변의 관광객들이 하나
둘
자리를 떠나고 기념촬영 등을 하고 있었다.태양이 제모습을 찾음에 따라 더운 열기가 더해가며 제4접촉(8시37분02초)을 마지막으로 완전히 개기일식이 끝났다. 우리나라 사람으로는 처음으로 개기일식을 ... ...
2. 사람간의 대화처럼 자연스럽게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움직이면 공이 회전하고 이 회전을 분석하여 마우스의 이동을 감지하는 장치다.
둘
혹은 셋의 단추가 있어서 위치와 단추 누름의 조합으로 복잡한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면 차림표에서 항목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자연스럽다. 특히 요즘 윈도 시스템이라고해서 책상위에 ... ...
(1) 3백85㎏의 월석이 밝혀준 사실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대기가 없다는 이유때문이다.달에 대기가 없다는 것을 뒤집어 생각해보면 대기를 잡아
둘
만큼 힘(중력)이 부족하다는 뜻이다. 몸무게 60kg짜리 사람은 달에서는 10kg으로 준다.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이기 때문이다. 만약에 대기가 있었다 하더라도 금방 탈출해버렸을 것이다. 실제로 물체가 지구를 ... ...
아인슈타인의 4차원을 넘어서 5차원 세계로의 초대 칼루자-클라인이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구성에 상관없이 같은 궤도를 그리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그는 지구를
둘
러싼 시공이 휘어져 있고 그 휘어짐을 따라서 모든 물체가 움직인다는 기하학적 해석을 내렸다. 즉 아인슈타인은 곡률로 중력을 나타냈다.좀 더 풀이해서 말하면 이렇다. 중력이 전혀 없는 시공간은 마치 평탄한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