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미
의의
취지
어의
의도
의향
뜻매김
d라이브러리
"
뜻
"(으)로 총 5,878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0으로는 나눌 수 없나?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수 c가 한 개 있다는
뜻
이에요. c가 없어도 안 되지만 두 개 이상이어도 안 되겠지요? 이
뜻
에 비춰볼 때 3을 0으로 나눈 값을 구하려면 0×c=3인 수 c를 구하면 돼요. 그런데 어떤 수에 0을 곱해 3이 되나요? 이런 수는 없어요. 물론 3이 아니라 영이 아닌 어떤 수에 대해서 생각해도 마찬가지예요.a(0이 ... ...
'점'과 '꼭짓점'은 무엇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모양이 똑같으니까요.그렇지만 문장부호인 점과 수학에서의 점은 모양만 똑같고 그
뜻
은 완전히 달라요. 마침표는 문장이 끝났음을 알려주는 표시예요. 그러나 수학에서의 점은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해요. 아래와 같이 점이 2개 찍혀 있으면 그 점을 이어 선분을 그릴 수 있어요. 이때 점 2개는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사실을 밝힌 바 있다. 바이오 네트워크의 토폴로지가 실제 바이오 현상과 관련이 있다는
뜻
이다. 이처럼 토폴로지, 즉 네트워크의 위치와 구조는 네트워크 자체의 기능에 강한 영향을 행사한다. 새로 만들어질 거대한 인터넷 네트워크에서도 마찬가지다. 한편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용량은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중에도 코쟁이류가 상상의 동물인지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설득력이 있다는
뜻
이다. 여기에는 직접 그린 섬세한 그림이 큰 몫을 했다. 그림만 보면 신기한 이 동물을 동물원에 가면 바로 만날 것 같다. 더구나 대단히 아름답기도 하다. 다른 사진이나 일러스트를 전혀 쓰지 않고도 책 한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산화시킬 염려가 있다. 오존수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사과 표면까지 탈색시킨다는
뜻
이다. 따라서 농촌진흥청은 사과 표면에서 미생물만 없앨 수 있는 오존 농도를 1ppm으로 정해 놓았다. 세균만 제거할 목적이라면 오존 가스가 더 편리하지만 오존 농도를 정확히 맞추기 위해서 오존수를 만드는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사실을 보여 주기 위한 상징적인 의미가 더 큽니다. 이런 방법은 ‘의인화’라는
뜻
의 ‘앤트로포모르픽(Anthropomorphic)’ 방식이라고 부르는데, 한국의 대표적인 두발로봇 ‘휴보’도 마찬가지입니다.하지만 2009년 말 발표된 ‘휴보2’는 조금 다릅니다. 의인화 방식을 쓰긴 했지만 앤트로포모르픽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발표했다. 세균을 분리했다는 말은 환자로부터 채집한 시료에서 균의 정체를 확인했다는
뜻
이다. 이들은 모두 같은 병원에서 오랫동안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로 밝혀졌다. 작년 12월 9일에 감염이 확인된 환자 한 명은 간질성 폐질환을 오래 앓고 있는 50대 남성으로 스테로이드를 장기 복용해 ... ...
모래 사이를 헤엄치는 도마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미국 조지아공대 물리학 연구팀은 샌드피시 도마뱀이 머리와 배 모양 덕분에 모래 사이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고 지난해 12월 31일 국제 물리학 권위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 에 ... 샌드피시 도마뱀처럼 머리가 뾰족하고 배가 평평해야 모래 속을 더 쉽게 파고든다는
뜻
이다 ... ...
Part 1. 왜 제퍼디 퀴즈쇼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선택한다. 즉 가능한 여러 가지 답안을 이끌어낸 뒤 정답확률을 계산해 답을 정한다는
뜻
이다. 만약 자신이 정한 정답에 자신이 없으면 왓슨은 버저를 울리지 않는다. 답에 대한 확신이 있을 때 기계장치를 작동해 버저를 울리고 답을 말한다. 우승을 위한 일종의 도박을 하는 셈이다. 왓슨의 가장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론을 만들었다. 퍼지(fuzzy)는 영어로 ‘경계가 확실하지 않은’, ‘흐린’이라는
뜻
으로 애매하다는 의미다. 보통 수학에선 애매한 표현의 모임을 집합이라고 하지 않는다. 즉 어른들의 모임은 집합이 되지 못한다. ‘어른’의 기준을 어디에 둬야 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컴퓨터 세계에서는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