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그 근거로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015년 6월 19일자에 발표된 논문을 들었다. 매튜 웨인가르텐 미국 콜로라도대 지질학과 연구원팀이 미국 중부와 동부에서 발생한 지진과 땅속 셰일가스 추출 작업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1970년대 1~7건이었던 지진이 2014년에는 65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올해 9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신경과학’에는 얼굴 인식 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 발표됐다. 여기서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은 얼굴을 인지하고 구별하는 기능은 뇌의 선천적인 능력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 학습된다고 주장했다(doi:10.1038/nn.4635). 얼굴을 인식하는 방추상얼굴영역이 형성 되려면 ... ...
-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IUCN)은 종별 개체수와 분포지역, 분포 정도 등을 고려해 2~5년마다 ‘멸종위기 등급’을 발표한다. 멸종위기 등급은 총 9단계로 나뉜다. 이 가운데 절멸(extinct), 야생절멸(extinct in the wild), 위급(critically endangered), 위기(endangered), 취약(vulnerable) 등 상위 5개 단계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포획 연구’ 등 다양한 연구 결과가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가면 최근 발표한 프로젝트 보고서 549개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볼거리 먹거리 가득한 관광지미니애폴리스는 코카시안이 많은 도시이지만, SAFL 연구원의 절반은 중국, 인도, 남아메리카, 중동 등에서 온 외국인입니다. 연구소 ... ...
- [과학뉴스] 아기 부르는 엄마 음색은 인류 보편적?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어린 자녀와 이야기할 때 부모는 본능적으로 짧고 반복적인 구절을 사용하고 목소리의 높이를 과장되게 높인다. 최근 연구 결과, 이 때 음색도 특정 방식으로 바뀐 ...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0월 12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16/j.cub.2017.08.07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6차 핵실험으로 발생한 인공지진의 경우 한국과 미국은 실체파 규모로 계산한 결과를 발표했지만, 중국은 어떤 규모로 계산했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동일한 실체파 규모로 계산했지만 한국과 미국의 계산값에서 차이가 나타난 이유는 관측소의 지리적인 분포와 사용된 자료의 양이 차이가 나기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0배 이상 방탄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을 알아내 ‘사이언스’ 2014년 11월 28일자에 발표했다. 가볍고 강한 방탄재료는 우주에서도 쓰일 수 있다. 지구 저궤도에서 활동하는 우주인의 우주복을 방탄 소재로 만들면 극초음속으로 날아다니는 우주쓰레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첨단 방탄 재료가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905년 발표된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우주에서의 절대속도는 진공 속을 달리는 빛의 속도, 즉 초속 30만km이다. 그보다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는 존재할 수 없다. 물체의 속도를 올리려면 힘을 가해 가속도를 만들어내야 하는데, 물체의 속도가 빛의 속도에 가까워지면 질량이 무한대로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필자는 매일 복도를 열심히 뛰어다니는 그의 모습을 본다. 헨더슨 박사의 노벨상 수상 발표일 저녁 LMB에서는 샴페인 파티가 열렸다. 연구소에서 일하는 약 400명의 연구원이 모두 모였다. 그 자리에서 헨더슨 박사는 수상 소감을 전하면서, 가장 먼저 공동 수상자인 뒤보셰 교수와 프랑크 교수에게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우주에서 태어나는 아이들은 심각한 기형아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가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지구 밖에서의 임신과 출산을 금지했다는 것. 아는 것이 많아질 때마다 보고서를 새로 썼다. 세 번째 만남은 고요의 바다에서 가졌다. 풍화가 없는 위성의 개척도시는 17년 전과 마찬가지로 쑥대밭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